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명왕성의 진짜 얼굴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역사상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거예요.뉴호라이즌호는 2006년 1월 19일에 발사된 이후 9년 6개월이나 걸려 명왕성 궤도에 도착할 수 있었어요. 7월 8일부터 본격적으로 명왕성과 관련된 데이터를 모으기 시작해, 7월 14일에 명왕성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지요. 그리고 그 뒤엔 다시 멀어지고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들여 로켓을 발사해야 해요. 하지만 드론은 직접 날아서 갈 수 있기 때문에 로켓과 같은 발사체가 필요 없고, 개발 비용도 훨씬 저렴하지요. 그렇게 되면 현재 위성이 하고 있는 통신, 방송, 기상, 과학, 지구관측 등의 역할을 드론이 대신 하게 될 거예요.드론을 활용해 통신망을 넓히려는 시도는 이미 ... ...
- 참매미의 새벽 대합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자신의 생각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매미가 합창할 때, 마을 축제에 사용하는 대포를 발사해 보기도 했어요. 우레와 같은 소리가 터졌지만, 매미는 미동도 없이 계속 노래를 했어요.파브르의 실험은 매미가 노래할 때 청력이 별로 좋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지만, 매미는 사실 귀머거리는 아니에요. ... ...
- 게임 캐릭터들의 지구 침공! 픽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평화적인 만남을 꿈꾸며 메시지를 보내고 있어요. 1972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발사한 우주선 파이어니어 10호를 시작으로 파이어니어 11호, 보이저 1호, 보이저 2호에 메시지를 담아 우주로 쏘아 올렸지요. 이뿐만 아니라 외계 지적생명체를 찾는 프로젝트인 SETI 등에서도 전파망원경을 이용해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이용했어요.자기공명영상은 커다랗고 강한 힘을 지닌 자석이 순간적으로 강한 전자파를 발사하도록 만든 장치예요. 전자파가 몸에 흡수됐다가 다시 방출될 때의 신호를 계산해서 몸속의 모습을 보여 주지요. 연구팀은 손가락을 잡아당기면서 손가락 내부의 변화를 자기공명영상으로 촬영했어요.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로커스트’를 발표했습니다. 로커스트는 1분 안에 드론 30대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발사된 드론은 마치 메뚜기떼처럼 무리 지어 비행합니다. 이 드론들은 자율성도 갖추고 있어 서로 부딪히지 않도록 편대를 이루죠..타마스 빅세크 헝가리 에오트보스 로란드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야외에서 드론 1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컴퓨터 이야기를 빼 놓을 수 없다.당시 미 육군 산하의 탄도연구소에서 대포나 미사일을 발사할 때, 대기 온도, 풍속 등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환경에 따라 탄도 하나의 사거리를 계산하려면 200단계나 거쳐야 했다. 이는 노련한 수학자들이 수작업으로 계산을 하려면 적게는 7시간에서 많게는 2 ... ...
- 굿바이, 메신저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행성이에요. 그래서 2004년 8월 3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수성탐사선 메신저호를 발사했어요. 두 대의 카메라와 레이저 고도계, 자력계를 싣고 출발한 메신저호는 수성과 충돌하기 전까지 6년 동안 수성 주위를 4100바퀴 정도 돌며 28만 9000장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지요. 그 덕분에 수성의 극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것”이라고 예측했다. 행성 사냥법 TOP3 시선 속도법(Radial Velocity)케플러우주망원경이 발사되기 전까지 외계행성을 발견하는 데 가장 많이 이용된 방법이다. 행성의 영향으로 항성의 중력 중심이 움직이는데, 그 중 앞뒤로 이동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앞뒤로 움직이는 속도 중에서 지구와 ... ...
- [과학뉴스] 인공위성 고치는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연료가 떨어지면 끝이다. 우주에서 연료를 충전하는 데 드는 비용이 새로운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비용보다 비싸기 때문이다. 자동차로 치면 기름이 떨어질 때마다 차를 바꿔야 하는 셈이다. 고장 난 부위를 수리하기도 힘들다. 이런 낭비를 줄이기 위해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인공위성정비부서(SSCO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