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플라스틱 먹은 낙타가 굶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상태로 굶어 죽는 거예요. 이번 연구를 이끈 미국 파이브자이어연구소의 마쿠스 에릭슨 박사는 “플라스틱이 육지 동물까지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올해 33세, KAIST에서 가장 젊은 교수다. 강 교수는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공학과에서의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마무리 짓고 지난해 2월 KAIST에서 교수로 첫 발을 뗐다. 1월 6일 KAIST에서 강지형 교수와 연구실 소속 연구원들을 만나 지난 1년간 있었던 이야기들을 들어봤다.KAIST가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점은 ... ...
- 퍼시비어런스, 5번째 화성 탐사 로버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위치한) 로스앤젤레스의 골프장에 홀인원 시키는 것과 같다.”NASA의 수석과학자 짐 그린 박사는 2019년 영국 일간지 ‘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화성에 로버를 안착시키는 일의 어려움을 묘사하며 이렇게 말했다. 지름 4.3cm의 골프공이 대륙을 가로질러 지름 10.8cm의 구멍 안에 한 번에 들어가야 ... ...
- [이슈] 수학 잘하는 동물 모두 모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사람처럼 숫자를 셀 수 있을까요? 2011년 데미안 스카프 뉴질랜드 오타고대학교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터치스크린 컴퓨터 화면을 3개 준비했습니다. 그리고 화면마다 다른 모양과 크기, 색깔의 도형을 띄웠습니다. 아래와 같이 첫 번째 화면에는 빨간 타원 1개, 두 번째 화면에는 큰 노란 삼각형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관찰하고, 정보와 특징을 친구들에게 알려 줬어요. 그래서 친구들은 저에게 ‘곤충박사’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고, 팀 이름으로 정했답니다. Q나비를 사육하게 된 사연이 궁금해요!어느 날 학원에 다녀오는 길 집 앞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일곱 마리를 발견했어요. 평소 다니는 길에서 자주 ... ...
- [과학뉴스] 거대 빙산, 펭귄 떼 사는 섬과 들이받을 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12월 28일, 네덜란드 델프트공과대학교 지구과학과 슈테프 레미테 박사는 거대 빙산 A-68A가 남극 근처 사우스조지아섬과 충돌할 위기를 넘겼다고 밝혔어요. A-68A는 지난 2017년 남극대륙의 라르센C 빙붕에서 제주도 면적의 세 배(5664㎢) 크기로 떨어져 나오며, 세계에서 가장 큰 빙산으로 기록됐어요. ... ...
- [KAIST 50년] 과학, 사회에 말 걸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월 4일 화상으로 만난 박대인 비플렉스 이사, 정한별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박사 과정 연구원은 2014년부터 팟캐스트 ‘과학기술정책 읽어주는 남자들(과정남)’을 운영하고 있다. 박 이사는 팟캐스트를 시쳇말로 ‘빡센 취미’라고 소개했다. 6년간 매주 콘텐츠를 올리는 꾸준함만 봐도 ...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않거나 오히려 낮았다. 연구를 이끈 애슐리 루바 위스콘신대 매디슨캠퍼스 심리학과 박사후연구원은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어린이들은 눈만으로도 사람의 감정(특히 슬픔)을 잘 추론할 수 있다”며 “표정으로 감정을 추론하는 능력은 성인으로 갈수록 향상되기에 마스크 속 표정을 ... ...
- [이달의 수학자] 뇌는 누구보다 자유로웠던 스티븐 호킹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수 없는 관계였기에 호킹은 1966년에 케임브리지대에서 응용수학과 이론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습니다. 그리고 1979년 같은 대학에서 루커스 수학 석좌 교수로 임명돼 그 자리에서 30년 동안 다양한 연구 업적을 남겼습니다. 루커스 수학 석좌 교수는 케임브리지대의 수학 교수직으로, 1669년에는 ... ...
- [4컷 만화] 헥헥, 무거워! 지구에게 너무 무거운 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많았어요.심지어 이번 분석은 인공물 중 인간이 버린 쓰레기를 제외한 결과예요. 론 밀로 박사는 “소각이나 재활용되지 않고 지구에 남아있는 쓰레기까지 포함하면 인공물의 총질량이 2013년에 이미 전 세계 생물량을 뛰어넘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