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높이는 물질이죠. 우주생물학 전문가인 송인옥 한국과학영재학교 교사(천문학
박사
)는 “과학자들은 ‘생명체가 존재하는가’라는 추상적인 질문을 ‘물이 액체로 존재하는가’라는 과학적인 질문으로 바꿔 묻고 있다”며 “물이 존재한다는 것은 곧 천체에 생명체가 존재할 만한 에너지가 있다는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것으로 나타났지요.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국제 응용시스템 분석연구소 다비드 르클레르
박사
는 “생물다양성 손실이 돌이킬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인간도 위태롭다”고 경고했답니다.한편, 지난 12월 11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도 2020년에 전 세계에서 31종이 멸종했고, 3만 5765종이 멸종위기종에 ... ...
[과학뉴스]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6은 두 경우보다 더 빨리 만들어졌거든요. 연구에 참여한 애리조나대학교의 샤오후이 판
박사
는 “이 블랙홀은 지금까지 설명해온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 밝혔어요. 연구팀은 앞으로도 다른 퀘이사를 찾으며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랍니다 ... ...
[2021 소미더뭐니] 특별상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소의 장에서 메탄가스를 만드는 효소를 억제했기 때문이죠. 이번 연구를 이끈 롭 킨리
박사
는 “소가 배출하는 메탄가스 배출량을 줄여 지속가능한 농업을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한편, 메탄가스를 막는 소 마스크도 개발됐어요. 영국 기업 젤프는 이 마스크를 소의 콧등 위에 붙이면 소가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육면체 모양 웜뱃 똥의 비밀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부위가 같이 움직이면서 장의 단면이 사각형 형태가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양
박사
후연구원은 “웜뱃이 육면체 똥을 싸는 원리를 연구하면 다양한 소재로 육면체 형태의 물체를 만들 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소프트 매터’ 1월 21일자에 실렸습니다. ... ...
[옥스퍼드
박사
의 수학로그] 제15화. 파이데이와 군론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오랜 유학 생활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습니다. 3월부터 서울대학교에서 수리과학분야
박사
후연구원으로 지내게 됐어요. 제가 좋아하는 파이데이를 한국에서 보낼 수 있어서 더 기쁘네요. 제가 연구하는 군론도 파이데이에 빠질 수 없겠죠? 대칭을 연구하는 군론과 원의 관계를 함께 알아봅시다 ... ...
[인터뷰] “신에너지 기술로 살기 좋은 지구를 만들겠습니다” [한글 번역본]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his interdisciplinary skills and experiences at both modeling and experimental-based combustion researches.올해로
박사
과정 3년차에 접어든 그는 더 좋은 결과를 위해 계속해서 특유의 꾸준함을 앞세워 연구에 몰두할 계획이다. 그는 “최첨단 연구로 살기 좋은 지구를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Sideroxylon grandiflorum)’예요. 1977년,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생태학자 스텐리 템플
박사
는 모리셔스에서 도도나무를 발견했어요. 13그루만이 남았었고 모두 300살 정도였죠. 이 나무는 자신의 열매를 도도새가 먹고 배설해야만 새로운 싹이 날 수 있는 데, 도도새가 멸종한 후 번식하지 못해 멸종위기에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19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제시한 ‘푸앵카레 추측’은 ‘끊긴 부분이 없이 닫힌 3차원 다양체는 구면과 위상동형이다’라는 내용입니다. 100여 년 묵은 이 난제는 2002년 러시아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이 증명하면서 해결됐습니다. 하지만 푸앵카레 추측을 4차원으로 확장한 ‘매끄 ... ...
[이달의 수학자] 나라를 구한 수학자, 바츠와프 시에르핀스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집합론은 주어진 조건에 맞는 대상을 모아놓은 ‘집합’을 연구하는 수학 분야죠. 이후
박사
학위를 받은 시에르핀스키는 우크라이나 리비우대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집합론을 가르쳤습니다. 그리고 동료 수학자들과 함께 1920년 위상수학과 집합론, 논리학, 수리 철학 등을 전문으로 다루는 학술지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