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페이지 뉴스] 피부세포를 시각세포로! 눈 먼 쥐 눈 떴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있다는 뜻이다. 또 주변 밝기를 구별해 본래의 습성대로 어두운 장소로 이동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비라즈 마하토 노스텍사스대 보건과학센터 연구원은 “광수용체가 전혀 없다시피 한 중증의 쥐도 회복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5일자 온라인판에 ... ...
-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지니어 “싫은 일부터 하나씩 지워보세요”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시작했다. 하지만 도시의 낭만과 대학원생의 삶 사이에는 괴리가 컸다. 좋은 연구와 논문을 내기 위해 학교와 집만 오가는 생활이 계속됐다. 다 그만두고 한국에 돌아가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같았다. 그때마다 윤 책임연구원을 버티게 해준 것은 그의 삶의 철학인 ‘싫은 일은 하지 않는다’였다. ... ...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준비하던 지난해 12월, 기자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규진 교수에게 반문했어요. 논문이 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의 표지를 장식했는데, 표지 그림을 연구실 소속 송정률 디자이너가 그렸다고 말해서였죠. 심지어 조 교수는 “디자이너는 로봇 디자인에도 연구 단계에서부터 참여한다”고 ... ...
- [석박통합당 기호3 이석사] 과학 생태계를 건강하게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오민석 건국대 의대 줄기세포연구실 연구원은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현재 졸업을 위해 논문을 준비하고 있다. 그는 학부에서 화학을 전공한 뒤 식품분석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취업을 결심했지만 쉽지 않았다. 식품분석 업무를 수행하는 회사가 많지 않고 식품영양학 등 타 전공자와 경쟁해야 ... ...
- 영화 ‘다크 워터스’로 본 과불화화합물의 진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암 유발 가능성이 있는 만큼 발암물질로 분류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논문에서는 세포실험과 동물실험 결과 PFOS가 인간을 포함해 대부분의 종에서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doi: 10.1016/j.yrtph.2016.11.021 롭의 끝나지 않은 소송영화에서 롭은 PFOA의 인체 유해성과 듀폰이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혁신을 불러왔다. 반도체 입자로만 여겨졌던 퀀텀닷을 생체 분자와 결합한 두 편의 연구논문이 1998년 연이어 발표되면서 퀀텀닷을 바이오이미징에 활용할 가능성이 확인됐다. 퀀텀닷은 기존에 생체 내부에 사용되던 형광체에 비해 10~50배 강한 빛을 발할 수 있어 신체를 통과해 바깥에서도 확인할 ... ...
- [DGIST] 더 빨리, 더 정확히, 더 많이 만능 AI 프로세서 개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주최하는 ‘컴퓨터구조국제심포지엄(ISCA)’에서 ‘뉴로큐브(Neurocube)’라는 제목의 논문으로도 발표됐다. doi: 10.1145/3007787.3001178궁 교수는 현재 삼성전자와 함께 AI 음성인식용 시스템반도체를 설계하고 있다. 그는 “드론, 자율주행차, 언어 번역기 등 복잡한 연산이 쓰이는 분야에 활용될 것”이라며 ... ...
- [미국유학일기] 대학 생활의 꽃, 동아리? 일이 더블이 되는 거야~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평평하지 않은 표면에도 드론이 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1년에 걸쳐 개발했다. 첫 학기에 논문을 읽고 매주 회의를 하며 아이디어를 구상했고, 두 번째 학기에는 장치를 직접 만들었다. 우리는 드론이 경사진 곳에서도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액티브 착륙장치(Active Landing Gear)’를 ... ...
- [지구사랑탐사대] 어과동 키즈, 지사탐 어벤저스 되다! 스파이더맨 이형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교수님과 논문을 썼어요. 신종 운길깡충거미와 예봉게거미도 2017, 2018년에 연달아 발견해 논문을 냈어요. 미기록종으로는 시화외줄솔개거미, 왕어리두줄깡충거미를 발견했지요. Q 웬만한 거미는 다 만나 봤겠어요. 아직도 보고 싶은 거미가 있나요? 우리나라에는 약 900종의 거미가 살고 있어요. ... ...
-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것 외에 대중과의 소통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영훈 교수는 “학문적 성과를 논문으로 발표해 전문가 그룹에서 인정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단행본이나 기사 등으로 알려 청소년이 관심을 갖게 해야 학문이 계속 발전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교육 목적의 저술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