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란 장미가 생긴다.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옮겨 심고 증식한다. 플라스미드는 염색체와는 별도로 자체 증식할 수 있는 세포 내의
작은
유전자 조직이다.같은 방법으로 장미 염색체를 토양균에 이식한 다음 증식시켜 이번에는 페튜니아의 청색 색소 유전인자 부분을 잘라내 장미 유전자와 합성한다. 합성한 색소 염색체는 토양균의 체내에서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것이었다. 정 상인의 눈은 어두운 곳에서 동공이 7mm 정도까지 확대된다. 그러나 이
작은
동공에 모아지는 빛으로 밤하늘의 여러 현상들을 살피기는 빛의 양이 너무 적다. 17세기 초 망원경이 발명되면서 커다란 렌즈에 모아진 별빛들이 밤하늘의 구석구석을 밝히면서 우주에 대한 인간의 시야를 ... ...
실리콘밸리의 신화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반도체업체들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었고, 루트 128의 중대형 컴퓨터업체들은 값싸고
작은
워크스테이션과 개인용 컴퓨터의 도전을 받았다. 이때 실리콘밸리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스와 같은 신생기업들이 탄생하고, 휴렛팩커드와 인텔과 같은 기업들이 옛명성을 되찾으면서 이를 극복했다. 하지만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하고 있다면, 그 별은 가만히 있는 것이 아니라 별과 행성의 질량중심을 축으로
작은
궤도를 그리며 움직이게 된다.따라서 지구에서 볼 때 이 별은 주기적으로 접근과 후퇴를 반복하게 된다. 이런 별의 스펙 트럼선들은 별이 지구와 가까워질 때는 청색편이, 멀어지면 적색편이가 생겨 편이가 ... ...
신경계의 과학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 모눈종이를 가로 5cm, 세로 5cm 정도의 크기로 자른다.4. 자른 모눈종이 위를 4mm 간격으로
작은
구멍을 뚫는다. 5. 손등에 구멍이 뚫린 모눈종이를 놓는다. 구멍을 통해 수성사인펜으로 점을 찍어 손등에 자국이 남게 한다.6. 유리병에 얼음물을 넣는다. 7. 점으로 표시된 곳에 구리선의 끝을 대보면서 ... ...
③ 다리 수명 무엇이 결정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크기나 종류가 다른 힘이 반복해 가해지면 그 강재가 본래 지니고 있는 강도보다 훨씬
작은
힘에도 맥없이 파괴돼버리는 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다.따라서 다리를 건설할 때는 지형과 지질 뿐만 아니라 30년 후의 교통량까지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70년대 건설된 한남대교는 하루에 ... ...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 혜성 충돌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이 중에는 지름이 수백km에 달해 한반도보다 큰 것이 있는가 하면, 수십-수백m짜리
작은
것은 이루 셀 수 없을 만큼 많다.웰스의 단편 소설 '별'은 19세기 말 이와 같은 천문관측 사실에 바탕을 두고 집필됐다. 당시에는 아직 시베리아 퉁구스카의 대폭발(1908년)이나 핼리혜성의 지구 접근(1910년)으로 ... ...
4. 쿼크와 힉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이들의 성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많이 진행돼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 쿼크가 더
작은
새로운 입자들로 이뤄졌는지에 대한 보다 근원적인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질량의 근원을 푸는 힉스입자현재 유럽핵물리연구소(CERN)에서는 페르미연구소의 가속기보다 7배나 에너지가 높은 양성자 ... ...
맛과 냄새의 조화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이 속담은 사람들이 실제로 식품에 대해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아무리
작은
단세포 생물이라도 생명유지를 위해 필요한 물질과 해로운 물질을 구별해내는 감각체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단순한 생명체에서는 세포와 외부 세계를 구별하는 세포막이 그 역할을 하고 ... ...
블랙홀이 은하를 꿀꺽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켄타우루스 A은하의 블랙홀은 은하가 형성되고 남은 잔해와 은하가 충돌하면서 생긴
작은
은하들을 먹이로 삼아 세력을 키우고 있었다. 이번 발견은 블랙홀이 얼마나 빠른 속도로 다른 천체를 빨아들이는지를 알아내는 좋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만약 그 속도를 알면 블랙홀의 질량을 구할 수 있기 ... ...
이전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