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혈액형 발견한 외과의학의 구세주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사람에게서 얻은 혈청을 다른 사람의 혈액에 첨가했을 때에 적혈구끼리 서로 엉겨 크고
작은
응혈괴(凝血塊)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란트스타이너의 이러한 관찰은 혈액형을 발견하는 출발점이 됐다. 그리고 란트스타이너는 서로 다른 사람의 혈액을 섞을 때 항상 응혈괴가 형성되는 것은 ... ...
밤하늘의 방랑자 혜성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있다. 천문학자들은 단주기 혜성의 근원지는 명왕성궤도 외곽의 카이퍼 벨트라고 하는
작은
천체들로 구성된 띠라고 추측하고 있다.혜성은 태양을 한번 만나러 올 때마다 자신이 가지고 있던 물질들을 흩뿌려 아름다운 꼬리를 보여준다. 그래서 몇번씩 태양을 방문했던 혜성은 처음보다 몸무게가 ... ...
달리는 자전거는 쓰러지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원운동에 적용할 수 있다. 자전거의 회전축이 관성을 갖고 변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에
작은
무게중심의 변화를 회전하는 바퀴 두쌍이 지탱해 주는 것이다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구조를 X선 회절에 의한 방법으로 밝히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당시 X선 결정학은
작은
유기분자의 구조를 겨우 밝히는 정도로 낮은 수준이었기 때문에 페루츠의 이러한 도전은 무모하다고 할만큼 획기적인 일이었다.1946년에 페루츠는 새로이 합류한 켄드루와 함께 영국 의학연구소 분자생물학 ... ...
가을밤에 만난 이웃 은하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자리는 안드로메다자리 아래에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닮은 이등변 삼각형이다. 크기가
작은
별자리지만 ‘나일 삼각주’나 ‘시실리섬’의 상징으로 고대부터 알려져온 별자리다. 지금은 M33 때문에 잘 알려진 별자리가 됐다.M33은 안드로메다자리 베타별을 기준으로 M31과 대칭점에 있는 거의 ... ...
3. 무용치료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카펫을 말아서 정리하게 한다든지,
작은
수건을 접어 보게 한다든지, 또는 아주 섬세하고
작은
씨앗 같은 것을 계속 옆사람에게 전달시키는 동작들이다. 물론 실제 사물은 없이 동작만 취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가 움직임을 어떻게 달리해야 제대로 일을 처리할 수 있는지를 느끼고, 아주 ... ...
바위 먹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지금까지 이 미생물에 대해 알려진 사실은 바위를 먹고 산(acid)을 배설한다는 것. 바위에
작은
구멍을 내 그 안에 몸을 틀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들의 DNA이다. 과학자들은 DNA와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미생물은 현존하는 박테리아류가 아니라 원시 박테리아에 가깝다고 밝혔다 ... ...
태양전지 비행기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것말고 대부분은 단단하고 가벼운 탄소섬유로 만들어 총 중량은 90kg 정도에 불과한
작은
비행기였다. 여기에 불과 1.5kg의 플렉시블 아모르퍼스 실리콘 태양전지를 붙였다.이 비행기의 이름은 민들레호(영어로 Sun Seeker)라고 명명됐다. 배터리는 20A의 전류를 약 10분간 모터에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을 ... ...
에밀레 종 비밀은 맥놀이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최근까지 신종이 설치돼 있던 경주 박물관의 울림통이 완전한 공명을 일으키기에는 조금
작은
것이다.이로써 미루어 볼 때 신종이 처음 주조되고 설치됐던 봉덕사의 울림통은 지금보다 크기가 커서 고유진동수가 64Hz에 딱 맞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울림통은 종을 설치하면서 여러가지 크기로 실험을 ... ...
지구 위의 몰래카메라 첩보위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해상도가 1m 이하)의 위성영상을 이용한다. 이 정도는 돼야 적국의 군사동향과
작은
군사시설 등을 판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KH-11 위성은 약 15cm, 래크로스위성은 1m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표1)은 해상도에 따른 물체의 판독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첩보위성과 군사위성의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