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부아지에 산소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행사하던 플로지스톤 이론은 큰 위기를 맞았다.결국 라부아지에가 산소의 존재를
발견
한 것은 플로지스톤 이론이 붕괴되고 근대 화학이 성립하는 길목에 결정적인 변화의 계기를 제공했다. 그래서 후대 사람들은 라부아지에를 통해 ‘화학혁명’이 일어났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라부아지에는1743년 ... ...
제3의 시각세포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색채를 느끼는 원추세포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3년 전 제3의 세포가
발견
됐다. 이 세포는 ‘멜라놉신’이라는 색소를 이용한다.연구 결과 이 세포가 내보내는 신호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곳으로 가지 않고 몸의 하루주기를 관장하는 영역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체시계의 역할을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연구팀은 질량분석기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선충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다우몬을
발견
하고, 이 물질이 작용하면 선충이 휴면에 들어가 수명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백 교수는 “다우몬은 인간의 노화 방지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이라며 “현재 다우몬에 반응할 수 있는 사람 세포 내 ... ...
기름에 오염된 땅 정화하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윤활유 등 기름으로 오염된 땅을 정화하는 능력이 우수한 국내 토착 효모 균주를
발견
해 특허출원을 마쳤다고 2월 21일 밝혔다. 이 효모의 이름은 야로이야(Yarrowia Sp.)로 다른 미생물보다 기름 분해 능력이 2배 이상 높다. 국립환경연구원은 1만ppm 정도로 폐윤활유가 오염된 토양에 이 효모를 주입하고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자남극은 호주 태즈메니아섬 남쪽 3000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1831년 처음 자북극이
발견
됐을 때보다 북서쪽으로 약 1000km 가량 이동했다. 이 속도라면 50년 뒤에는 자북극이 시베리아에 위치하게 된다.자기장의 세기도 감소했다. 2002년 4월 파리 지구과학연구소의 고띠에르 울르 박사와 그의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소뇌의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ENGRAILED2 유전자 등의 돌연변이체가 자폐증 환자에게서
발견
될 확률이 더 높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현재 연구자들은 10여개의 유전자가 자폐증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이를 모두 규명하면 치료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아무튼 임신 ... ...
숫자에 숨겨진 저글링의 비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던져도 도저히 통제할 수 없는 지경이 돼 무작위 저글링의 재미가 살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
했다. 같은 유형이 너무 반복돼도, 다른 유형만 너무 계속돼도 무작위 저글링만의 ‘맛’이 살지 않는다는 것이다.뇌 발달도 도와요즘 넛슨 교수는 이 중간에 해당되는 아주 흥미로운 무작위 저글링을 볼 수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역력하다. 1999년에는 수학퍼즐을 만들다가 피타고라스 정리를 증명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
해 외국 학술지에 발표했다.“수학퍼즐이야말로 진짜 수학에 가까워요.” 그의 수학퍼즐 예찬이 이어졌다. 흔히 사람들은 수학 공식을 외우면 수학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수학을 공식과 동일한 것으로 ... ...
5. 디자인은 대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연필이 하나 꽂혀있구나 생각하다가 문득 연필꽂이의 링이 허공에 떠있다는 사실을
발견
하면 마치 마술을 본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가까이 다가가 자세히 봐야 비스듬이 꽂혀있는 연필이 사실은 기둥임을 알 수 있다.미국의 디자이너 아드리안 올라부에나가가 디자인한 이 제품은 오늘날 좋은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별들이 개별적으로 보이지 않아 분석이 불가능하다.아기 은하의 존재에 대한 멋진
발견
이 이어졌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첫 번째 별이 생성되기까지 왜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그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제 막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아기 은하 연구를 시작한 천문학자들이 ... ...
이전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