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바이러스에도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아냈다. 이 약물은 말레이시아의 열대 식물에서
발견
한 것이었다. 칼라놀라이드 에이는 현재 말레이시아에서 임상시험을 거의 완료했다.‘후퍼진 에이’는 치매 등 뇌질환에서 기억유지를 방해하는 효소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으며, 기존약물인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분포돼 있다는 것이다.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은 혀지도가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20세기 초에 나온 이 이론은 19세기 말의 한 연구결과를 잘못 해석한 결과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이 별 생각 없이 이 이론을 ‘진실’로 받아들여 엄밀한 검증 없이 계속 인용하면서 오늘에 이르렀다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빨리, 세 배 더 먼 은하는 세 배 더 빨리, 더 먼 은하는 더 빨리 멀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
한 것입니다. 따라서 불안한 아인슈타인의 우주 모델은 자연스럽게 동적인 허블 모델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1990년 4월에 발사한 우주망원경의 이름에‘허블’이 들어간 것은 이런 허블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 ...
제3의 시각세포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색채를 느끼는 원추세포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3년 전 제3의 세포가
발견
됐다. 이 세포는 ‘멜라놉신’이라는 색소를 이용한다.연구 결과 이 세포가 내보내는 신호는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곳으로 가지 않고 몸의 하루주기를 관장하는 영역으로 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체시계의 역할을 ... ...
연세대, 선충 수명 10배 늘려주는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연구팀은 질량분석기와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선충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다우몬을
발견
하고, 이 물질이 작용하면 선충이 휴면에 들어가 수명이 연장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백 교수는 “다우몬은 인간의 노화 방지를 위한 신약 후보물질”이라며 “현재 다우몬에 반응할 수 있는 사람 세포 내 ... ...
기름에 오염된 땅 정화하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윤활유 등 기름으로 오염된 땅을 정화하는 능력이 우수한 국내 토착 효모 균주를
발견
해 특허출원을 마쳤다고 2월 21일 밝혔다. 이 효모의 이름은 야로이야(Yarrowia Sp.)로 다른 미생물보다 기름 분해 능력이 2배 이상 높다. 국립환경연구원은 1만ppm 정도로 폐윤활유가 오염된 토양에 이 효모를 주입하고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비듬균을 죽일 수 있는 최소 농도가 케타코나졸이 0.5ppm(1ppm은 100만분의 1)인 반면 우리가
발견
한 물질은 0.00004ppm으로 나타났다. 현재 외국 회사와 예비 계약을 맺었는데 우리는 이물질의 판매 가격으로 금보다 비싼 1kg당 35억원을 제시했다.곰팡이로 해충 없앤다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최근 무공해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별들이 개별적으로 보이지 않아 분석이 불가능하다.아기 은하의 존재에 대한 멋진
발견
이 이어졌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첫 번째 별이 생성되기까지 왜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그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제 막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아기 은하 연구를 시작한 천문학자들이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형성한 것으로 추측된다. 소마젤란은하 내에 있는 NGC 346 같은 별 탄생지역도 우주 초기에
발견
되는 것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소마젤란은하는 우주 초기에 별이나 은하가 어떻게 탄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실험실인 셈이다 ... ...
무중력에선 이끼도 나선을 그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실험을 수행했다. 다행히 잔해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샘플의 일부가 손상되지 않은채
발견
됐다. 안을 들여다보니 모두 나선방향으로 자라 있었던 것.지구상에서 이끼는 빛이 오는 방향을 향해 자라거나 어두운 곳에서는 중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란다. 당시 연구를 수행했던 미국 ... ...
이전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