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영화 ‘킹스맨’처럼 소리로 뇌세포 조종 성공
2015.09.15
의해 진동하면서 신호를 증폭하도록 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특정 초음파 주파수에
반응
하도록 만든 신경세포의 이온채널(TRP-4)을 켜고 끄는 등 자유자재로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챌러사니 박사는 “TRP-4는 사람에게는 물론 원하는 세포에 인위적으로 만들 수 있는 이온채널”이라며 “초음파를 ... ...
너 바람 폈지?
과학동아
l
2015.09.15
소년을 반겼을 때의 과장스런 태도, 평소와 달리 소년의 썰렁한 개그에 호들갑스럽게
반응
한다는 점에서 위화감이 느껴졌습니다. 처음에는 그동안의 어색한 분위기를 무마하려는 노력이라고 생각했지만, 소년의 마음 속에서는 슬슬 의심이 피어올랐습니다. “근데, 오빠는 괜찮아? 오랜만에 ... ...
[생활 속 한방보따리]자고 나니 온몸이 으슬으슬하다고요?
동아일보
l
2015.09.14
있다. 마황탕의 경우 감기 초기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며, 갈근탕은 세포성 면역
반응
을 증강하며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는 것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또 마황부자세신탕은 항염증작용과 함께 항히스타민제와 같이 코막힘 증상을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흔히 항히스타민제가 들어간 ... ...
나이 들면 귀 안 들리는 원인? 유전자 때문이에요
2015.09.13
유전자는 이종간 장기 이식을 할 때 ‘CMAH’라는 효소를 만드는 유전자로, 급성거부
반응
을 일으키는 단백질 생산을 유도한다. 사람은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그 기능이 완전히 소실된 상태로 알려졌다. 이번에 연구진은 유전자칩을 이용해 청력을 잃은 생쥐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Sirtuin ... ...
“타인의 줄기세포 환자에게 이식 수술, 내년 첫 시도”
2015.09.11
이론적으로는 항원을 140종 비축할 경우 일본 국민 대부분에게 이식해도 면역거부
반응
이 생기지 않는다. 그는 iPS세포를 이용한 줄기세포 치료제의 전망을 묻자 백내장 수술 발달 과정을 예로 들었다. 다카하시 리더는 “백내장 수술은 1990년대에 더디게 성장하다가 1999년을 기점으로 성공률과 ... ...
도체-부도체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 첫 상용화
2015.09.09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연구진은 온도뿐 아니라 전압, 압력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반응
하는 다양한 MIT 소자를 연구하고 있다. 원하는 대로 도체와 부도체를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을 이용해 기존의 전기기기 설계를 바꿔 놓겠다는 게 목표다. 김 센터장은 “소방안전시설이나 가정용 누전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사이에서 줄타기를 해 최대 수명을 누리는 셈이다. 1979년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에
반응
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인자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생명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분자가 됐다. 앞으로 p53 연구가 인류의 암 정복 여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 ...
농촌 생활이 천식·알레르기 예방한다
2015.09.06
A20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이 발현하지 않도록 임의로 차단하자 다시 알레르기
반응
이 생겼다. A20 단백질이 알레르기를 막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뜻이다. 하지만 농장에서 자랐다 해도 모든 아이가 알레르기나 천식에서 해방되는 것은 아니었다. 농장에서 자란 아이 2000명을 대상으로 ... ...
‘헨젤과 그레텔’ 전법 쓰는 똑똑한 면역세포
2015.09.04
역할을 톡톡히 하는 셈이다. 김 교수는 “호흡기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체내 면역
반응
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더욱 자세히 알게 됐다”며 “향후 백신이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남극물개가 자기 자식 찾는 비법은 ‘목소리’
2015.09.03
보였다. 하지만 가까운 거리에서 녹음된 어미 소리에는 목소리를 낸 어미의 새끼만
반응
을 보였다. 오빈 연구원은 “어미 물개는 원거리에서는 주파수만 변화시켜 새끼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다가, 거리가 가까워지면 소리의 구성 성분을 다양하게 변화시키며 소통한다”며 “새끼를 찾아 내는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