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뉴스
"
반응
"(으)로 총 7,527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건강해야 심장도 튼튼… 돌연사 막으려면 뇌 건강 살펴라
2015.01.13
있는 쥐에게서 떼어낸 세포는 아무리 많은 BDNF를 넣어 줘도 전혀
반응
하지 않거나 약하게
반응
했다. 또 연구진은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심장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BDNF 단백질 수용체가 건강한 심장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에서 조금 다르다는 사실 알아냈다. 이 수용체는 BDNF 단백질이 내보내는 ... ...
100kg 물건도 번쩍! ‘아이언맨’처럼… 특수 소방관 슈트 나온다
동아일보
l
2015.01.13
투입된다. 인체관절을 본뜬 슈트의 외골격을 완성한 뒤 착용자의 운동 의지에 기민하게
반응
하는 센서가 결합된다. 관절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기술이 반영되면 최종적으로 안전성을 평가할 예정이다. 새 슈트는 최대 100kg의 물건을 옮길 수 있게 개발된다. 소방관용 첨단 헬멧도 개발된다. 적외선 ... ...
박물관서 스마트폰만 켜면 ‘도슨트’가 내 손안에
2015.01.12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ETRI 미디어네트워킹연구실 이현우 실장은 “관람객의 행동에
반응
해 전시공간과 가상 투어 세계를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국민 여가생활 증진과 중소기업이 해외 문화콘텐츠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항체를 만드는 B세포의 성숙을 돕는다는 내용이다. 교과서를 보면 항원-항체
반응
은 적응면역계로 T세포의 안내를 받아 B세포가 성숙해 면역글로불린G 항체를 만든다고 나와 있다. 그런데 실제 면역계를 보면 이와는 별도로 면역글로불린M 항체를 만드는 B세포가 더 빠른 시간 안에 성숙한다는 사실이 ... ...
과학자로 성공하려면 필요한 것은?
2015.01.11
하고 트리에틸아민 등 냄새나는 화학물질을 개미의 몸에 발라 장의사 개미가 어떤
반응
을 보이는지를 관찰했다. 윌슨 교수가 살아있는 개미에게 ‘올레산’을 바르자 장의사 개미가 이 개미를 옮기기 시작했다. 올레산 냄새를 풍기는 개미는 살아있지만 죽은 ‘좀비 개미’가 된 것이다. 한편 ... ...
난치병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 가능해졌다
2015.01.11
판단해 나쁜 면역물질을 생성하지 않았다. 류마티스 관절염에 걸린 쥐는 염증
반응
으로 다리가 붓지만(왼쪽)는 신약 후보물질로 치료받은 쥐(오른쪽)는 다리가 붓지 않았다. - 연세대 제공 연구팀은 실험용 쥐를 이용해서 이 인공 단백질의 효과를 검증했다.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고 있는 쥐는 60일 ... ...
‘뉴로마커’가 예측하는 나의 미래
2015.01.09
대상을 제한했다. 연구팀은 주변 사람의 말이 들릴 때 신생아 뇌에서 음운과 음절에
반응
하는 뇌파를 각각 측정해 파형의 차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일부 아기는 말소리를 들어도 전두엽에서 나타나는 뇌파가 저조했다. 이 아기들은 훗날 실제로 난독증을 앓았고, 연구진의 예측 정확도는 81%를 ... ...
LED가 조명인줄만 아셨던 분, 이것 좀 보세요!
2015.01.09
상처 회복이 2, 3배 빨라졌다는 보고도 있다. 최근에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받으면 화학
반응
을 일으키는 광감작제(光感作劑)를 함께 쓰는 광역동 요법도 개발돼 광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 있다. 김범준 중앙대 의대 교수는 “LED가 통증을 완화하고 염증 자체를 억제해 주기 때문에 아토피 피부염이나 ... ...
겨울철 감기 더 잘 걸리는 이유가, 코 때문?
2015.01.07
국내 바이러스 전문가 정용석 경희대 생물학과 교수는 “저온에서는 면역세포 내 화학
반응
은 물론이고 물질수송능력 등 대사능력이 전반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면역력이 취약해진다”고 덧붙였다 ... ...
얼굴·목에 걸리는 암, 항암제 치료효과 미리 안다
2015.01.06
환자는 생존기간이 6.4개월 더 길었던 것. 특히 염증성 물질이 적게 발현된 환자의 치료
반응
률은 40%로 많이 발현된 환자(13%)와 큰 차이를 보였다. 조 교수는 “이번에 확인한 인자를 토대로 난치성 두경부암 환자에게 적합한 표적치료제를 찾는 선별 기준을 마련한다면 맞춤형 치료에 큰 도움이 될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