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성
젊음
생기
뉴스
"
신선함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궁극의 디스플레이’ 단점, 기술로 극~복~
2014.12.22
국내 연구진이 ‘양자점(quantum dot)’ 발광소자의 효율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인을 찾았다. 양자점은 지름이 1~20나노미터(nm)의 둥근 반도체 입자다. 양자점은 화학적 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크기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빛의 파장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색 순도가 우수해 ‘궁극의 디스플 ... ...
초스피드 노로바이러스 검출 키트 상용화 임박
2014.12.22
23일 솔젠트에 기술이전한 노로바이러스 진단키트 -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제공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기존 16시간이 걸리던 노로바이러스의 검출을 1시간 내외로 검출할 수 있는 진단기술을 개발하고 솔젠트에 기술이전한다고 23일 밝혔다. 최종순·권요셉 생명과학연구부 책임연구원팀은 전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해 과학계 10대 뉴스가 궁금하다면…
2014.12.21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67P/추류모프-게라시멘코’ 혜성이 장식했다. 지난달 유럽 우주국(ESA)의 탐사로봇 ‘필레’가 착륙한 곳이다. 사이언스는 이 탐사로봇을 보낸 탐사선 ‘로제타’를 올해의 연구 성과 중 1위로 선정했다. 이밖에도 이번 주 사이언스에는 여러 로봇이 ... ...
남극 얼음 밑 신비의 호수 ‘빙저호(氷底湖)’를 찾아서
2014.12.19
‘쿵. 쿵.’ 15일 남극 장보고기지가 있는 테라노바 만 연안. 쇄빙연구선 아라온이 남극해를 덮고 있는 두꺼운 해빙을 깨고 있다. 얼음 두께만 무려 1m. 아라온이 뱃머리를 들었다 내릴 때 마다 얼음을 따라 둔탁한 굉음이 울려 퍼졌다. 이원상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은 17일 아라온의 위성전화를 ... ...
불량 실리콘 웨이퍼가 나노분말로 환골탈태(換骨奪胎)
2014.12.17
국내 연구진이 제조 현장에서 나오는 폐기물을 재활용해 기능성 나노분말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정국채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 박사팀은 실리콘 분말, 불량 실리콘 웨이퍼, 금속 조각 등 반도체나 태양전지를 제조할 때 나오는 부산물을 플라스마의 높은 열로 녹여 증발시 ... ...
화성에 물도 있고, 메탄도 있고, 수소도 있네
2014.12.17
이달 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화성에 물이 최소 수백 만 년간 존재했을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해 세계적으로 화제를 불러 일으켰다. 이는 NASA의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Curiosity)’가 지름 154km짜리 ‘게일 분화구’ 근처의 사진과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 ... ...
성범죄 용의자, 머리카락 세균으로 검거
2014.12.16
범죄 현장에 떨어진 머리카락은 범인을 잡는데 중요한 단서다. 하지만 머리카락에 들어있는 DNA의 양이 부족하거나 머리카락에 모근이 붙어있지 않다면 머리카락에서 범인의 정보를 얻기는 어렵다. 하지만 최근 이런 머리카락에서도 범인의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로 ... ...
환경호르몬 ‘프탈레이트’가 IQ 6~7 떨어뜨려
2014.12.15
립스틱, 매니큐어와 헤어스프레이, 비닐장판(PVC 바닥재) 등에 들어 있는 환경호르몬 물질 ‘프탈레이트’. 최근 이 프탈레이트가 아이의 지능지수(IQ)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IQ는 기억력과 작업처리 속도와 관련 있다고 알려진 지표다. iStockphoto 제공 미국 컬럼비아대 연구팀 ... ...
‘인터스텔라’를 회고하며
2014.12.14
워너브러더스코리어 제공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SF영화 ‘인터스텔라’가 이달 13일 기준 누적관객 950만 명을 넘겼다. 지난해 하반기에 개봉한 SF영화 ‘그래비티’가 320만 명을 동원한 것에 비하면 몇 배나 많은 관객들이 인터스텔라를 보기 위해 영화관을 찾았다. 인터스텔라의 인기 덕분에 영 ... ...
몸속에서 뺏고 빼앗는 ‘철(Fe)의 전쟁’
2014.12.14
세균에게 철(Fe)은 매우 중요한 물질이다. 생명 현상을 유지할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전자를 받는 수용체이며 DNA를 합성할 때는 조효소로 작용한다. 사람 몸에 들어온 세균의 경우 철을 얻기가 매우 힘들다. 이 때문에 세균이 선택한 전략은 바로 ‘해적질’. 표면에 ‘TbpA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