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5
간암으로 발전한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관한 수상자 3명의 연구를 나타낸
그림
. 노벨위원회 제공 하비 올터 부소장은 수혈을 받은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간염을 연구하던 중 C형 간염의 존재를 밝혀냈다. 당시 A형 간염과 B형 간염을 진단할 수 있는 혈액 검사가 발견돼 수혈로 인해 발생하는 ... ...
'강하고 전기 잘 통하는 입체 그래핀 제조' 난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빨간색)에 의해 마치 접착제로 붙인 듯 연결돼 임체 구조를 형성한 모습을 형상화한
그림
이다. 수원대와 IBS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입체 그래핀 구조 복합체로, 강철보다 가벼우면서도 강하고 전기가 잘 통하는 휘어지는 전자소자 개발 가능성을 높였다. 어드밴스드펑셔널머티리얼스 제공 강철보다 ... ...
검출 감도 10억 배 높인 마이크로파 검출기 개발...양자 기술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5
저항 변화를 10피코초(ps. 1ps는 1000억 분의 1초) 이내에 검출할 수 있게 했다(아래 사진 및
그림
). 그 결과 1aW까지 검출할 수 있는 볼로미터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볼로미터의 사진(왼쪽)과 구조 모식도다. 네이처 논문 캡쳐 이 교수는 “차세대 양자소자를 실제로 구현하기 위한 ... ...
안전성·최고 효율 모두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개발된 광활성층의 구조(왼쪽)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작동 원리를 묘사한
그림
이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특이한 결정구조를 갖는 광물질로 이를 광활성층으로 삼아 태양광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게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다. 이번에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내부의 이온 구성을 바꿔 ... ...
[주말N수학] 히든싱어6, 인간과 AI 대결의 승자는
수학동아
l
2020.10.03
좋을 것 같다는 의견도 많다. 수학으로 두 방식을 비교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위
그림
에서 왼쪽의 계산 결과는 인간이 내릴 수 있는 판단의 영역을 고려하지 않고 계산한 것이다. 모창 도전자와 원조가수가 너무 비슷해서 정말 모르겠을 때 무작정 찍는 상황에서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는 ... ...
뇌가 낯선 공간을 기억하는 원리 밝혀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해마 속 치아이랑의 전극배열을 기록하고 있는 모습을 3D로 나타낸
그림
. KIST 제공. 어떤 곳을 처음 찾아갈 때는 주변에 눈에 띄는 물체나 지형을 보고 길을 찾지만 점차 익숙해지면 그런 지표가 없어도 길을 헤매지 않는다. 이는 누구에게나 나타나는 흔한 현상이지만 사람의 뇌가 어떻게 공간을 ... ...
[AI대학원 가이드] (중) AI교수 5인이 말했다 "AI대학원에선 이런 공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내가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으로 지원했다”며 “사람과 같이
그림
을 그릴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공다영 포스텍 AI대학원 석사과정생은 “AI 대학원 교수님들은 굉장히 양질의 교육을 할 수 있는 분들”이라며 “비디오와 텍스트에 관련한 AI 연구를 하고 있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새 머리'라고 무시 마라 포유류 못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7
매우 비슷한 뇌 표면과 수직인 신경망(아래
그림
오른쪽 파란선)과 수평인 신경망(아래
그림
오른쪽 흰선)이 존재한다. 사이언스 논문 캡쳐 같은 날, 안드레아스 니더 독일 튀빙겐대 교수팀 역시 송장까마귀에게 시각 자극을 가한 뒤, 새의 뇌 가장 바깥 영역에서 이 자극이 무엇인지를 인식하는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복원
그림
이다. 최대 몸길이가 8.8m로 중형 버스만한 육식 판피어류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4억1000만 년 전에 시작돼 3억6000만 년 전에 종료된 고생대 데본기 바다는 다양한 종류의 어류가 번성한 어류의 전성기였다. 그 가운데 직전 시기인 4억3000만 년 전 실루리아기에 등장해 데본기에 번성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코로나19 정복 가능할까?···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미래
2020.09.23
널리 《코로나19 과학 리포트》를 일반인들이 볼 수 있도록 전파했다. 또한 알기 쉽게
그림
을 삽입하여 이해를 도왔다. 내용은 알차고, 정보는 정확했으며, 지적으로 유익했다. 동료 과학자들, 의료현장의 의사들, 사회경제분야 전문가들도 주옥같은 리포트를 게재해주었다. IBS 연구자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