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뉴스
"
그림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뉴스페이스 업리프트]“의뢰한 물품 달에 보내드려요”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댄 핸더슨 애스트로보틱 부사장이 13일 서울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뉴스페이스코리아 업리프트'에서 자사의 착륙선과 탐사선을 활용한 달 화물 ... 옮기는 임무를 애스트로보틱이 만든 달 착륙선 ‘그리핀’에게 맡긴다고 발표했다.
그림
은 바이퍼를 실은 그리핀의 모식도다. ASTROBOTIC 제공 ... ...
[한 토막 과학상식]IBS 연구진 최초로 관찰했다는 ‘케이지 형성’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12
패킹계수가 0.5, 0.6, 0.7인 상태에서 레이저를 쏜 후 5초 후의 입자가 움직인 거리를 나타낸
그림
으로, 움직이는 거리가 클수록 빨간색, 작을수록 파란색이다. 패킹계수가 0.6일 때 움직이는 입자들이 가장 많다. 케이지 형성은 유리 입자가 주변 입자들에 둘러싸여 뭉쳐 크고 작은 덩어리를 ... ...
'사람→밍크→사람' 전파 게놈으로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코로나19 환자 가운데 1775명의 시료에서 나온 바이러스 게놈을 해독해 계통도를 그린
그림
이다. 이 가운데 이번 밍크 농장에서 나온 밍크와 종사자의 게놈을 A~E의 다섯 클러스터(군)으로 묶어 표시했다. 연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이들 농장과 인접한 지역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환자의 게놈을 ... ...
논란의 밍크 유래 추정 코로나 변이 살펴보니 "관찰 필요하지만 과대 해석 금물"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9 바이러스 변이 가운데 하나인 스파이크 단백질 Y453F 변이 주변의 단백질 구조를 추정한
그림
이다. 가운데 PHE 453번 숫자가 붙은 분자가 변이로 타이로신 대신 들어간 페닐알라닌이다. 코비드3D 화면 캡쳐 유럽에서 새로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코로나19) 변이가 발견돼 화제다. 이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0
가지면서 작고 가벼운 초광각 카메라가 개발됐다. 사진은 이 카메라를 이용해 원본
그림
(작은 사진)을 관찰한 이미지다. 네이처 일렉트로닉스 논문 캡쳐 스마트폰과 몸 속을 들여다보는 내시경, 빠르게 기동하는 드론이나 자율주행차에서는 작지만 시야각이 넓은 카메라가 사용되고 있다. 여러 ... ...
3D 프린터로 체내에서 녹는 식도 스텐트 출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9
교수팀이 3D 프린터로 체내에서 분해되는 식도 스텐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그림
은 생분해성 식도 스텐트 제작 과정이다. 포스텍 제공 조동우 포스텍(POSTECH)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체내에서 분해되는 식도 스텐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9일 밝혔다. 이를 ... ...
노력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팝뉴스
l
2020.11.09
한 미국인이 연필로
그림
그리기를 시작했다고 한다. 처음에는 왼쪽과 같이 허술한
그림
만 나왔다. 그런데 3년 동안 연습을 지속했더니 달라졌다. 결과물은 오른쪽 작품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노력하면 뜻을 이룰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진이라면서 감탄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 ...
[프리미엄 리포트] 불꽃 축제 대신 방구석 빛 축제에 초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0.11.07
가져 불안정했던 색소가 화학발광을 통해 빛을 방출하며 안정해지고 있군’ 생각하면서
그림
을 그리면 방구석 빛 축제를 더 과학적으로 즐길 수 있겠죠? 에필로그 화학발광 현상은 신나는 빛 축제만 열어주는 게 아닙니다. 코로나19 연구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클리아(CLIA) 기법이라고 ... ...
SF로 AI와 함께하는 미래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06
전개를 펼칠 수 있다"고 말했다. 심사를 맡은 김봉석 대중문화평론가는 "독창적이고
그림
부터 꿈을 꾸게 만드는 기발한 작품"이라며 "영상으로 만들어진 SF작품을 찾기도 힘들던 때에 비하면 지금은 사소한 아이디어를 과학적으로 증폭시키는 등 다양한 유형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 ...
19세기 화가들, 18세기 화가보다 높은 곳에 수평선을 잡았다
2020.11.05
작품을 위-아래 또는 오른쪽-왼쪽으로 나누는 첫 번째와 두 번째 단계에 주목했다.
그림
을 양분할 때 두 부분의 길이를 각각 a와 b라 하고, a와 b의 합으로 a를 나눈 값을 화면 분할 비율로 정의했다. 분석 결과 1만 5000여 개 작품의 화면 분할 비율은 시대별로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화면 분할 비율은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