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계"(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않았다. 하지만 제니퍼 애니스톤 세포만으로 얼굴 인식 세포의 기능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A를 인식하는 얼굴 인식 세포가 망가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른 사람은 잘 알아보면서 A만 못 알아볼까? 낯선 사람들을 한꺼번에 만난 경우에는 어떨까. 새로운 얼굴에 대한 인식 세포가 생성되기 ... ...
- 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몽타주 기술은 아직도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고 기술적인 한계도 분명히 있다. 기술을 개발할수록 모두가 안전한 환경에서 살아가고, 수많은 실종 어린이들이 가족의 품 안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생각에 힘을 얻고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엄격한 과학자문위원회 구성으로 신뢰 확보정성적 평가의 한계도 있다.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한 평가인 만큼 신뢰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과학자문위원회는 연구소 별로 운영되며, 연구소 규모에 따라 5~1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다. 막스플랑크협회 전체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학부생들에게 돌아갔다. 이들은 전류로 ‘on’ ‘off’를 조절하는 기존 전자회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나노빔을 만들어 ‘on’ ‘off’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심사위원인 송용설 아모그린텍 부사장은 “학부생들이 나노기술에 관심이 많다는 사실이 놀라웠다”며 “기존 연구를 발전시킨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등록해놓지 않으면 AI의 얼굴 인식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AI 자체의 기술적인 한계도 있다. 오류가 발생하면 고칠 방법이 없다. 자기 학습 능력에 의해 스스로 발목이 잡히는 꼴이다. 가령 A의 얼굴을 반복적으로 B라고 인식할 경우 A의 사진을 계속해서 보여주면서 이것이 A라고 학습을 시키는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규모의 포화는 발생하지 않지만, 규모 3.5이하의 작은 지진은 정확히 측정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유3 : 美 관측소 1000여 개, 韓은 수십 개 결국 어떤 계산법을 채택하느냐에 따라 지진 규모는 달라진다. 지난해 4월 16일 일본 구마모토 지진 발생 당시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사우스다코타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정확하게 알고 있는 셈이다. 측정불확도측정값은 측정환경이나 측정기기의 분해능 등의 한계로 항상 불확실성을 갖게 된다. 그 정도를 표준편차, 표준오차 또는 다른 정보에 근거해 가정한 확률분포로부터 추산한 값이다. 상대불확도측정불확도를 측정값으로 나눈 수치. 측정불확도가 측정값에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용해 하전 입자를 가속하는 기존의 가속 방법으로는 가속기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이대로라면 플래시가 대형 가속기 주변에서만 출동할 수 있는 셈이다. 그런데 강력한 레이저와 플라스마를 사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원리는 이렇다. 원자핵과 전자들이 섞여 있는 ...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원인, 30년 만에 뒤집혔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하지만 이 학설로는 파킨슨병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김대수 KAIST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기저핵의 운동신경이 흥분할 경우 파킨슨병이 발병한다는 내용을 밝혀 신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뉴런’ 8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기저핵 신경을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술이 필요하다. 구글은 “큐비트들 간의 상호작용을 줄이고, 여기서 발생하는 계산의 한계는 디지털 회로를 이용해 극복했다”고 밝혔다. 김 선임연구원은 “극저온이라는 제약이 있고, 양자 알고리듬 연구가 부족해 일반 산업체에서 쓰려면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4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