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살고 싶은 행성 ‘눈’으로 확인하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1초도 안 되는 노출시간을 두고 촬영한 사진에 대기의 산란이 관측될 수 있다는 사실에 과
학자
들은 흥분했습니다. 같은 원리로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외계행성을 직접 가보지 않고도 찾을 수 있을지 모르니까요. 이를 위해선 먼저 생명체가 살기 좋은 환경인 지구가 먼 거리에서 하나의 점으로 보일 ... ...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위해 동서양의
학자
들은 수천 년 전부터 연구를 이어왔어요. 파이데이를 맞아 준비한 수
학자
들의 π 구하기 열전, 지금부터 시작합니다!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경이로운 π 어디까지 알고 있니?Part1.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Part2.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소수점 아래 14번째 자릿수까지 정확하게 맞혔습니다. 150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어떤 수
학자
도 알 카시가 구한 것보다 더 정확한 값을 제시하지 못했죠 ... ...
[기획] 소수점 이하 50조 번째 자릿수까지 나왔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추보스키 공식을 적용한 알고리듬을 사용했습니다. 32살의 나이로 요절한 천재 수
학자
라마누잔의 손에서 현재도 사용되는 원주율 알고리듬이 출발한 것입니다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013년과 2014년 국내외 주요대학들이 MOOC에 대한 환상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며 “한
학자
는 MOOC로 인해 대학의 25% 정도는 문을 닫을 거라 예측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당시만 해도 온라인 수업에는 ‘효율성 저하’라는 꼬리표가 항상 달렸습니다. 코로나19로 누구나 온라인 수업에 익숙해진 ... ...
[기획] π의 혁신을 불러온 무한급수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사람이 있었습니다. 1873년 소수점 아래 707번째 자릿수까지 계산한 영국의 아마추어 수
학자
윌리엄 샹크스입니다. 무려 15년에 걸친 계산 결과입니다. 이후 컴퓨터 계산을 통해 527번째 자릿수까지만 정확한 것으로 판명됐습니다. 샹크스의 결과는 사람이 직접 손으로 계산한 원주율의 최장 기록으로,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심지어 발명자조차 모른다. 죽어가는 세포 살려내는 나노봇은 아직 요원한 꿈미국의 공
학자
킴 에릭 드렉슬러는 1986년 발표한 저서 ‘창조의 엔진’에서 지금의 나노봇 개념을 처음 제시했다. 당시 드렉슬러는 분자 조립자(molecular assembler)라고 일컬었다. 이 책에서 꿈꾸는 나노봇은 고도로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금성과 지구의 고도 50~65km 대기는 기압과 온도가 비슷합니다. 1960년 미국의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은 금성 구름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죠. 그리브스 교수팀도 이 지점에서 생명체의 대사 결과 만들어지는 유기물을 찾았습니다. 그 결과 금성 대기에 포스핀(PH3)이라는 물질이 약 20ppb ...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수학을 잘 못해서 속상하다고요? 수학을 잘하는 사람에게 질투가 난다고요? 괜찮습니다! 조난숙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님도 그랬거 ...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 현대 심리학에서는 확률을 이용한 통계학을 많이 활용해요. 수
학자
로서 확률론을 공부했던 저는 이해하기 쉬웠죠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연구에서 많이 쓰인다.폴란드 언어
학자
윈센티 루토스와프스키가 이 방법으로 고대 철
학자
플라톤이 저술한 글을 시대별로 분석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비트코인 개발 관련 논문을 단서로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를 찾을 때 이 기술을 이용하기도 했다.연구팀은 이 기법을 미술에 적용했다.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