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도끼의 날 방향이 제각각이라 빛을 집중적으로 받는 곳이 있을 수밖에 없었어요.
학자
와 충분히 상의하고 도면을 들여다봤죠. 사진에 담긴 관점이 곧 후손이 이 유물을 바라보는 관점이라는 생각을 하면 늘 공부할 수밖에 없어요.” 사진 기증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한국에 남겨진 유물 대부분은 ... ...
호모 속의 기원...턱뼈를 남기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속으로 분류하는 것이 정확하다”고 맞섰다.이처럼 LD 350-1의 발견 초기에는 여러 고인류
학자
에게 논쟁의 대상으로 떠올랐지만, 현재는 호모 속의 가장 오래된 조상으로 인정받는 추세다. 크리스토퍼 배 미국 하와이대 인류학과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발견 초기 논란이 있던 것은 사실이나 최근 ... ...
[잡터뷰] 과학으로 범죄 흔적 찾는 법과
학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내 꼬박꼬박 답장을 보내고 있다.미래의 법과
학자
에게 조언으로 정 교수는 “훌륭한 법과
학자
가 되기 위해서는 과학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계속해서 키우길 바란다”며 “멘토를 두고 자신의 꿈을 향해 한 단계씩 밟아 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 ...
[특집] 과학 담은 가드닝 비법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소모해 빨리 죽는다. ● 진화의 신비를 품은 꽃을 보려면 ‘다윈난’영국 생물
학자
찰스 다윈의 진화론 연구에 실마리를 제공한 식물로도 유명한 다윈난(앙그라이쿰 세스퀴페달레·Angraecum sesquipedale)은 바위 등에 붙어 사는 착생란이다. 큰 별 모양의 하얀 꽃이 아름다운 향기를 내뿜는다.다른 ... ...
[융복합파트너@DGIST] 미지의 물질 특성 양자 상태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기준을 만들었다.김 교수는 “양자 상태 연구로 물질의 근본을 이해하는 것은 고체물리
학자
들의 영원한 관심사”라며 “새로운 양자 상태를 발견해 과학지식의 저변을 확대하고 싶다”고 말했다 ... ...
[기획] 소리를 전시하다, 연출가 강신욱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관심도 놓치지 않았다. 그는 천체망원경을 가지고 틈틈이 별을 보러 가는 아마추어 천문
학자
다. 은하수가 보일 정도로 공기가 맑은 최전방에서 군 생활을 한 것이 계기가 됐다. 지금까지도 즐기는 유일한 취미 생활이다. 음악은 기술과 함께 발전한다강 연출가는 음악계에서 ‘얼리어답터’다. 그의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지역에 따라 조금씩 형질의 차이를 보인다. 이를 계군(stock)이라고 한다. 독일의 생물
학자
프리드리히 하인케는 물고기가 가지고 있는 여러 형질 중에서 척추뼈의 수로 계군을 나누는 방법을 처음 시도한 사람이다. 그는 1875~1892년에 잡힌 청어의 척추뼈 수가 지역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천문
학자
칼 세이건의 성을 따서 닉네임을 Sagan이라고 지었어요. 제가 가장 존경하는 과
학자
이기도 하죠. 저는 천문학과 물리학을 좋아하고 수학 분야에서는 소수의 분포에 관심이 많습니다. Q 어떻게 폴리매스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수학동아에서 폴리매스 소개를 보고 작년부터 활동했습니다. ... ...
[이달의 수
학자
] 위대한 업적, 그리고 위대한 선생님 히로나카 헤이스케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즐거움’에서 밝혔습니다. 히로나카에게는 그 소녀가 선생님이었던 셈이죠. 위대한 수
학자
를 향한 첫걸음이 우연한 만남에서 시작됐다니 무척 인상적입니다. 그는 “수학을 연구할 때는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지 끝까지 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도 말했죠. 여러분은 어떤 마음으로 수학을 ... ...
[파고캐고 지질
학자
] 첩첩산중 강원도가 원래는 열대 바다였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4호
3~5억 년의 주기로 초대륙*으로 합쳐졌다 나누어진다는 학설로 발전했지요.지질
학자
들은 앞으로 5000만 년~2억 년이 지나면 새로운 초대륙이 생겨날 거로 추측하고 있어요. 그때 한반도는 어디로 떠내려가 있을까요? 용어정리* 마그마 : 암석이 뜨거운 열로 녹아 액체 상태가 된 물질.* 초대륙 :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