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표자
대표원
대신
정치 위원
대리자
사절
d라이브러리
"
대표
"(으)로 총 7,19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새해에는 얼숭덜숭 호랑이가 내려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범 내려온다~♪” 올해는 임인년(壬寅年), 검은 호랑이의 해입니다. 여러분은 호랑이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나요?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호랑이는 특별한 동물이었어요. 하지만 우리나라 호랑이는 물론, 세계의 호랑이들은 사람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했습니다. 호랑이와 사람이 더불어 사는 ... ...
빙판 위의 기적 그들의 썰매를 책임집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최 장비매니저는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신의현 노르딕스키 국가
대표
의 썰매를 제작하고 연구하는 일도 함께하고 있다”고 말했다. 50세 선수가 뛰는 파라아이스하키의 미래는동계패럴림픽에서 파라아이스하키는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낸 효자종목이다. 2017년 국제패럴림픽위원회 ... ...
시간이 멈춘 골목의 시계장인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요즘 물건이 고장 났다고 수리점으로 뛰어가는 사람은 드물다. 버리고 새 것을 사는 게 그만큼 쉬운 세상이니까. 물건에 쉬이 정을 붙이지 않는 사회에서 수고를 감수하고서라도 꼭 고치고 싶은 물건 ... 요람’┗세대를 가로지르는 작업장┗세월의 큐레이터 I 전미영
대표
의 시계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안돼 이주하지 못한 노점상이나, 예지동과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주한 상공인도 있다. 전
대표
는 “예지동 시계 골목의 경쟁력은 상공인들이 밀집해 서로 연결돼 있던 데에서 나온다는 점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일”이라고 했다. 이 이야기는 예지동 시계골목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지동을 포함한 ... ...
[2022 필즈상 예측] 줄곧 탄탄대로 달려온 루마니아 출신 천재 수학자 기호 3. 아나 카라이아니
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여학생으로서 루마니아에서 수학을 잘하기가 쉽지 않았다”고 할 정도로 여성
대표
자는 그동안 없었습니다. 하지만 카라이아니 교수는 이 모든 것을 뛰어넘고, 2001년에 이어 2002년과 2003년에도 연이어 금메달을 받아 ‘수학 천재’의 면모를 발휘하기 시작합니다.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 입학한 ... ...
[METAVERSE] 현실에선 부자인 내가 이세계에선 상거지?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투자를 할 수도 있어. 가상세계의 공간을 싼값에 사서 비싸게 파는 부동산 투자가
대표
적이야. 지난해 11월에는 디센트럴랜드라는 곳에서는 29억 원어치의 땅이 팔리기도 했어. 땅을 산 기업에서는 이곳에서 의류를 판매하고 패션 이벤트를 열겠다고 했지. 생존 지침 ③ 즐길 수 있을 때 즐기자이제는 ... ...
[인터뷰] “일단 부딪쳐봐야 자신의 것이 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있다. 여성 과학기술인이 다양한 제품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
대표
는 “여성들의 감각과 아이디어가 이 분야에도 접목된다면 훌륭한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특집] 한국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포함한 멸종위기종에 가장 필요한 것은 관심입니다. 사람들은 호랑이가 우리나라를
대표
하는 동물이라고 생각하지만, 막상 호랑이에 대해서 아는 것은 많지 않습니다. 호랑이 축제를 열고, 호랑이 박물관을 짓는 등 사람들에게 호랑이를 알리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호랑이가 우리나라의 상징적인 ... ...
[CES 2022 현장 리포트] “미래는 공존을 택했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자리에 전시된 기술들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비출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게리 샤피로 CTA
대표
는 “CES 2022에서는 우리 사회를 재편하고 근본적인 과제를 해결할 혁신에 집중했다”며 “기술의 혁신은 우리를 더 낫게 만들고 인간으로서 할 수 있는 것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인류멸망시나리오② 10km급 천체가 떨어져 겨울이 찾아왔다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풍요 대신 멸망과 관련된 이름이 붙곤 한다. 2004년 발견된 소행성 ‘아포피스(Apophis)’가
대표
적이다. 태양신을 삼키는 거대한 뱀의 이름을 딴 이 소행성은 정말 지구를 삼켜버릴까. 소행성이 충돌하는 날을 모의 시나리오로 예상해 봤다. 2150년 2월 1일, 10km급 소행성 ‘다이너소어(Dinosaur·공룡)’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