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 터치 패널 더 싸고 더 얇게... 희토류 대신 구리 사용
2016.07.25
미세하게 가공하는 방법은 기존에도 있었다. 그러나 유독한 화학물질이 필요하고
전류
소비도 많았다. 연구진이 새롭게 개발한 기술은 화학물질 없이 적은 에너지로 구리선을 단일 층으로 얇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강 교수는 “고전도, 고밀도, 고집적의 구리배선을 제작하는 ... ...
인공망막 개발 멀지 않았다… 1차원 반도체 개발
2016.07.19
사진(왼쪽)과 끝부분을 확대한 사진 - 고려대학교 제공 생체 내에서 발생하는 미세
전류
와 빛을 민감하게 감지할 수 있는 극미세 반도체가 개발됐다. 향후 인공망막 개발에 응용될 수 있는 신소재로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찰스 리버 하버드대 교수팀과 ... ...
[궁금한 이슈 why] 이름도 들어본 적 없는 ARM이란 회사가 35조원이라고요?
동아사이언스
l
2016.07.19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적절히 배치해 원하는 기능을 구현해야 합니다. 트랜지스터는
전류
를 열고 닫는 스위치입니다. 신호를 열고 닫는 2가지 동작만을 조합해 오늘날 PC나 스마트폰이 하는 온갖 기능들을 수행하게 해야 합니다. (일상에서 비슷한 체험을 하고 싶으시면 마인크래프트 게임에서 ... ...
당신의 자녀가 마인크래프트를 해야 하는 3가지 이유
2016.07.13
스위치를 눌러 레드스톤을 떨어뜨리면 에너지가 끊긴다. 그렇다. 작은 스위치가
전류
를 열었다 닫았다 하는 아주 간단한 동작들을 모아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것, 바로 반도체이다. 이진법에 기초해 일의 순서를 정하고 명령을 내리는 코딩의 원리와도 유사하다. 마인크래프트 레드스톤 ... ...
소수성-친수성, 두 가지 성질 동시에 갖는 신소재 개발
2016.07.03
굴곡이 사라지는 현상을 이용해
전류
가 흐르지 않을 때에는 표면이 소수성이지만
전류
가 흘러 표면이 매끄러워지면 친수성으로 바뀌는 물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우리가 만든 신소재는 진공은 물론, 1000도가 넘는 고열 환경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어 실생활은 물론 ... ...
그래핀의 재발견, 미세
전류
제어 ‘성공’
2016.06.28
이 교수는 “전압을 바꿔 주는 것만으로 그래핀의 고유한 전도특성을 유지하면서
전류
의 흐름과 방향을 미세제어할 수 있게 됐다” 면서 “그래핀을 이용한 정밀소자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과학저널 ‘네이처’의 자매지인 ‘네이처 피직스(Nature Physics)’ 2 ... ...
초전도자석 둘러싼 ‘韓日 전쟁’ 시작되나
2016.06.21
절감하면서도 극저온 용기로 들어오는 외부 열(복사열)의 침입량을 최소화했다. 또한
전류
가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열이 초전도코일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했다. 그 결과 초전도자석의 충전 속도를 기존 대비 7배 높였고, 원가를 절반 수준으로 낮췄다. 배 연구원은 “원가절감을 통해 ... ...
“양자 컴퓨터 실용화 길 열렸다”
2016.06.14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위상절연체는 내부론
전류
가 통하지 않고 표면으로만
전류
가 흐르는 특수 물질이다. 표면을 통해서는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를 흘려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양자컴퓨터의 기본 원리인 전자의 스핀현상을 구현하기 쉬워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금까지는 위상절연체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텔레파시스트’되는 가장 현명한 방법
2016.06.12
뇌파를 전자기적으로 읽어낼 수 있어 의료용 연구에 자주 쓰인다. TMS는 두피에 미세한
전류
를 공급해 두뇌의 특정 부위를 자극하는 기기를 말한다. 실험에는 인도와 프랑스에 사는 4명의 건강한 사람들이 참여했는데 인도에 있는 사람이 영어로 ‘헬로(hello)’에 해당하는 스페인어 ‘올라(hola)’와 ... ...
영하 90도서도 문제없이 스마트폰 사용한다
2016.05.31
성능이 1000배나 뛰어난 셈이다. 박 교수는 “영하의 온도에서도 소자에 흐르는
전류
의 양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라며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한다면 더 편리한 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나노소재 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