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말했다. “신기하죠? 하지만 보시는 큰 로봇이 전부가 아닙니다. 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로봇도 있죠. 연구실 이름인 ‘멀티스케일’인 이유입니다.” 외부 자기장으로 몸속 로봇을 움직이다 MBR Lab은 몸속에 들어간 로봇을 움직이고 약물을 전달할 수 있도록 외부 자기장으로 ... ...
- [숫자로 보는 뉴스] 빠르게 튕겨! 몸무게의 300배가 넘는 오줌을 누는 비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슈퍼 추진력을 활용하는 이유는 자신의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서예요. 몸길이가 1.2cm밖에 되지 않는 샤프슈터는 소변을 배출할 때도 많은 에너지를 써요. 슈퍼 추진력을 이용하면 한 번에 많은 양의 소변을 최대한 빨리 배출해서 에너지를 아낄 수 있지요. 샤프슈터가 먹는 것 중의 95%는 물인데, 물에 ... ...
- 개운하게 목욕하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아니? 환경단체인 ‘그린피스’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생수 페트병은 109개나 돼. 대한민국의 인구수는 2023년 기준 5155만 명이니,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생수병이 버려지는지 곱셈을 이용해 구해보자 ... ...
- [꿀꺽! 생활 속 수학 두 입] 알쏭달쏭 시(時), 거꾸로 읽어야 아름답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벌이 모두 몇 마리인지도 거꾸로 생각하면 더 쉽게 알 수 있답니다. 마지막에 남은 벌 1마리에 꽃으로 날아간 벌들의 수를 더하면 맨 처음 꽃밭에 온 벌떼의 수를 구할 수 있지요. ... ...
- 왜 필요해?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시야에서 등하굣길을 보면? 어린이는 키가 성인보다 작습니다. 2021년 기준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평균 키는 약 122cm, 6학년 학생들의 평균 키는 약 153cm예요.● 모두 약 150cm 높이의 자동차에 가려지기 쉽다는 뜻이지요. 완벽히 가려지는 건 아니더라도, 운전자의 시야에 잘 들어 ...
- [과학 뉴스] 해냈다, 누리호! 3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10kg이 되지 않는 4기의 나노 위성으로, 우주 날씨를 관측할 예정이에요. 다만 4기 중 1기는 누리호에서 우주로 내보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나머지 위성으로 편대 비행을 하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027년까지 ... ...
- [현장취재] 공원에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2023 기자 커뮤니티 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미션을 통해 처음 만난 친구와도 자연스럽게 친해질 수 있었답니다. 어린이 기자들은 1시간 동안 쪽지를 찾기 위해 분주히 뛰어다녔습니다. 노란색 꽃 위에 놓인 쪽지를 발견한 장시우 어린이 기자는 기쁨의 함성을 질렀어요. 게임이 끝날 때쯤 가까스로 찾은 쪽지였지요. 그네 통나무의 틈에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구분하는 걸까요?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나라는 ‘엘니뇨 감시구역(위도 5캳-5캮, 경도 170캷-120캷)’을 설정해 매달 바다의 수온을 살피고 있습니다. 엘니뇨 감시구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과 비교했을 때 0.5℃ 높은 상태가 5개월 이상 지속되면 그 첫 달을 엘니뇨의 시작으로 정의하죠. 온도 편차에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위튼 불변량을 이용해 해결할 수 있게 됐어요. 업적 3. 필즈상의 성배 위튼 추측 1991년 위튼 교수는 대수기하학 난제인 ‘위튼 추측’도 만들었어요. 각각 1998, 2006, 2014년에 필즈상을 받은 막심 콘체비치 프랑스 고등과학연구소 교수와 안드레이 오쿤코프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교수, 이란 수학자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던진 이번 연구는 역대 동전 던지기 실험 중 동전을 가장 많이 던졌다. 이번 논문의 제 1저자인 암스테르담대 프란티세크 바르토스 박사과정생은 “대학에서 ‘베이지안 통계’를 가르칠 때 동전 던지기를 항상 예시로 사용할 정도로 결과가 무작위하다고 알려진 흔한 개념인데, 실제 데이터를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