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사람
세상
중생계
인간세계
세계
지구
d라이브러리
"
인류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Go!Go!학자] 고고학자들도 속아 넘어간 희대의 사기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6호
그러나 40년 후, 과학자들의 실험으로 필트다운인 화석은 가짜임이 밝혀졌어요. 중세
인류
의 두개골에 500년 전 오랑우탄의 턱뼈를 끼워 맞춘 거였요. 학계에서 거짓말로 한 번 잃어버린 믿음은 다시 찾기 힘들어요. 한 번의 거짓말 위에 쌓인 후속 연구들이 다 물거품이 되어버리니까요. 특히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여기는 화성, 지구는 응답하라! 우주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섭섭박사님과 기자단 친구들이 함께 우주 탐사를 떠났어요! 과연 어디로 떠났을까요?
인류
가 달에 착륙한 지 50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지구를 제외하고 인간이 발을 디딘 천체는 달이 유일해요. 이는 인간이 직접 우주를 탐사하는 일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주지요. 따라서 우주를 탐사할 때엔 ... ...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장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택시들이 계속 찾아왔지요. 강원바이오에너지 김현 대표 이사는 “음식물 쓰레기는
인류
와 뗄 수 없는 관계”라며 “한정된 화석 연료 대신 음식물 쓰레기로 에너지로 만드는 일은 점점 더 가치 있어질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달 심우주 탐사 전진 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4호
쌓아온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Q 아르테미스 계획에 참여하는 이유가 있을까요?달 탐사는
인류
의 활동 영역을 넓히는 매우 중요한 일이에요. 특히, 아르테미스 계획은 달 탐사뿐 아니라 화성 탐사로도 이어져요. 이는 지구의 특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줄 거예요. 다른 행성과 지구를 ... ...
기생충으로 역사 탐험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3호
단계에 생긴 유적지이기 때문에 이곳의 기생충을 조사하면 생활이 바뀌는 과정에서
인류
가 어떤 병에 걸렸는지를 추측할 수 있답니다.발굴에 참여한 마리사 레저 박사는 “아마도 사람들은 똥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편충에 감염되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추측했어요. ● 인터뷰 “기생충은 ... ...
2019 네이버 과학판 베스트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호응을 받았습니다. 1. 지구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 무슨 일이 일어날까? 2. 수많은
인류
를 살린 투구게의 푸른 피 3. 전 세계 개구리를 멸종시키는 한국개구리 4. 족발에서 종종 보이는 무지개빛의 정체는 5. 총알이 날아올 때 물속으로 들어가면 정말 안전할까 6. 방탄헬멧은 왜 ... ...
아폴로부터 아르테미스까지, 우주복의 진화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입었던 우주복과 외형은 비슷해 보이지만 기동성은 크게 향상됐다. 실제로 1969년 7월 20일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표면을 밟은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은 팔을 어깨 높이까지만 올릴 수 있었고, 몸은 굽히지 못했다. 브라이든스틴 NASA 국장은 우주복 공개 행사에서 “아폴로 우주 비행사는 달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중국이 우주 탐사에서 선전할 것이라는 전망도 맞아떨어졌다. 1월 3일 ‘창어 4호’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했다. 여기에 더해 중국 정부는 이르면 연말에 ‘창어 5호’를 달에 보내 월석 등 달 샘플을 가지고 지구로 귀환시키겠다는 계획도 밝힌 상태다. 연말까지 한 달쯤 남았으니, ... ...
소행성이 우리나라에 떨어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실장은 “발견되지 않은 소행성은 내일 당장 떨어져도 이상하지 않다”며, “전
인류
가 힘써 추락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답니다. 용어정리*LD : ‘달’을 뜻하는 ‘Lunar’와 ‘거리’를 뜻하는 ‘Distance’의 약자다. 1LD는 지구와 달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중력 질량이 광도 질량에 비해 10배 이상 크다는 뜻이죠. 이를 통해 왜소은하에는
인류
의 기술로 관측되지 않는 암흑물질이 별보다 훨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었습니다. ● 연세대 은하진화연구센터와 함께하는 왜소은하 찾기 프로젝트 과학동아천문대와 수학동아는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69
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