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류"(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거리 단위로 약 326만 광년)보다 약 9% 높은 측정값으로 약 74.03km/s·Mpc이다. ●Error 인류 역사에 혁혁한 공을 세운 영웅에게 고난과 역경은 필수 코스인 걸까. 수십 년간 우주 탐사의 아이콘으로 불린 허블우주망원경도 지금까지 몇 차례 치명적인 오류를 범했다. 1990년 4월 24일, 수많은 사람의 ...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전파망원경을 하나로 연결해 처녀자리에 위치한 거대 타원은하 M87에서 블랙홀의 모습을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관측했다.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전파망원경의 분해능이 가장 뛰어나 블랙홀도 관측할 수 있던 것”이라며 “전 세계 곳곳에 있는 8개 망원경이 ... ...
- 제임스 J. 복 스피어x 총책임자 "최초의 은하 찾겠다" [한글 번역본]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이는 천문학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스피어x 프로젝트가 인류 지식의 경계를 허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미국과 한국 국민이 각국의 우주연구기관인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한국천문연구원(KASI)을 통해 이런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은 특권이라고 생각한다.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소행성 아로코스의 생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핵 강착 이론과 정반대라는 결과가 나왔다. 인류가 아로코스를 직접 관측한 건 2019년 1월 1일이었다. 이날 NASA의 무인 탐사선 뉴허라이즌스호는 아로코스로부터 3500km 떨어진 지점까지 접근해 아로코스의 형태와 지형을 촬영하고 표면온도를 측정했다.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 읽으면천재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quantum dot·양자점)은 등장과 함께 여러 분야에 새로운 돌파구를 선사했다. 그동안 각 분야에서 실험 ... 퀀텀닷은 실시간 바이오이미징 기술,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 키트 등에 활용돼 인류 사회에 막대한 파급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건 필요하다고 봐요. 수학이 해보지 않은 일을 가능하게 한다고요? 1969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달에 착륙했어요. 말 그대로 한 번도 해보지 않은 일을 가능하게 만든 거예요. 어떻게 할 수 있었죠? ‘그냥 일단 날아가 봐~’ 할 순 없잖아요. 모두 과학자와 수학자가 계산을 해서 만든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아직까지 결론이 나지 않았지요. 인류세를 주장하는 국제지질연합의 과학자들은 인류세를 지정해야한다고 의견을 모았고, 2021년 다시 한번 공식 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 # 에필로그 “역시 이건 화석이었어!”개미군과 개미 친구들은 꿀록 탐정님을 향해 환호성과 박수를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4화. 방정식의 근과 대칭은 무슨 사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모두 미지수가 하나인 방정식입니다.하나, 둘, 셋, 넷…, 눈앞에 있는 물건을 헤아리는 건 인류의 기본적인 생존 본능 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하나씩 세는 수를 우리는 ‘자연수’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자연수만으로는 표현할 수 있는 수가 너무 제한적이었습니다. ‘사과 1개를 2명이 나눠 먹으면 ... ...
- 기후물리연구단, 고기후 데이터로 밝힌 현생인류 최초 이주 경로과학동아 l2020년 04호
- 향후 대전 IBS 본원에서 운용하는 슈퍼컴퓨터 ‘알레프(ALEPH)’로 고기후와 인류 이주 사이의 상관성 연구, 현재 및 미래 기후 모델링 연구 등을 계속할 계획이다. 알레프의 연산속도는 1.43PF(페타플롭스·1PF는 1초에 1000조 번 연산)로 데스크톱 PC 1560대를 합친 성능이다. 저장 용량은 9820TB(테라바이트· ... ...
- 10대 토론, 미성년자 동물 해부실습 찬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되는 동물 해부실습 금지법 시행에는 반대합니다. 현재 인류가 이룩한 과학기술 문명이 인류와 공존하는 동식물의 서식지를 파괴하기도 했고, 멸종 등 동식물에 큰 피해를 준 사실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대신 지금은 많은 국가와 시민사회가 무분별한 개발을 지양하고, 동식물과 더불어 사는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