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네더월드 정복하기 1. 차원문 넘어 네더 요새로!수학동아 l2022년 07호
- 경우엔 X와 Z값만 확인하면 됩니다. 네더 요새의 좌표는 (-290, 74, 235)예요. 이 좌표를 기억한 뒤 처음 만든 네더 차원문을 타고 오버월드로 넘어옵니다. 네더월드와 오버월드의 좌표에는 특별한 관계가 있어요. 바로 오버월드의 좌표에 나누기 8을 하면 네더월드 속과 연결되는 ... ...
- [특집] 코인, 어떤 게 살아남을까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주권을 지킬 수 있는 구조인지를 가장 먼저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강 대표는 루나를 예로 들었다. “루나파운데이션가드(LFG)는 자신들만 볼 수 있는 지갑을 갖고 있었다”며 “LFG가 어떻게 루나 가격을 회복하는지 코드로, 수학적으로 증명하지 못한단 건 주권을 지키지 못한단 것”이라고 ... ...
- 쓰레기, 대체 얼마나 많은 거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7호
- 비닐 1개씩 덜 쓰면?우리나라 국민 1명이 1년 동안 사용하는 비닐봉지는 약 460개예 요. 한 사람이 하루에 한 개 이상의 비닐봉지를 사용하는 셈이지요. 우리나라 국민 전체로 보면 1년에 약 234억 6000만 개가 돼요.비닐봉지 1개를 만들 때 이산화탄소는 약 47.48g 배출돼요. 우리 나라 국민 모두가 한 달 ... ...
- [핫이슈] 스파게티 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정도만 확인하세요~수학동아 l2022년 07호
- 5월 일리노이대를 졸업했고, 9월부터 미국 프린스턴대학교에서 박사과정 공부를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때문에 진행하게 됐어요. 연구실이 폐쇄되면서 집에만 머물게 됐는데, 매우 심심했지요. 이참에 집에서도 할 수 있는 재밌는 연구를 해 보기로 했고, 그렇게 해서 찾은 주제가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싶은 문제]에 냈던 문제 중 자랑하고 싶은 문제는 무엇인가요?‘폐허의 도시’라는 문제예요. 이 문제를 내기 전에는 문제를 올려도 반응이 없었는데, 이 문제 이후엔 문제를 내는 족족 반응이 폭발적이었어요. 다른 회원이 제 문제를 많이 풀어 주니 정말 신났어요. 제가 폴리매스 활동을 꾸준히 할 ... ...
- [SF소설] 나와의 다세계적 채팅방 해석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숫자로 하는 거죠?’‘뭐, 기본적으로는 그렇죠. 하지만 꼭 숫자일 필요는 없어요. 예를 들어 500비트짜리 문장을 아스키 변환해서 사용해도 되고요.’‘결국은 같은 그림이잖아요.’나는 뭘 말하는 건지 알 수 없었고, 지수의 오랜 조언대로, 가만히 있었다. 그러자 원하는 반응이 나왔다.‘혹시 ... ...
- [기획] 양자컴퓨터 본격적인 연구는 이제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6호
- 계산을 하기 힘들지요. 무엇보다도 중요한 건 양자컴퓨터로 풀 수 있는 문제를 찾는 거예요. 양자컴퓨터가 실제로 잘 쓰일 수 있어야 연구가 계속되겠죠. Q앞으로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지금 크기는 작아지고 성능은 5큐비트 이상으로 좋아진 새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고 있어요. 더 나아가서 ... ...
- [별별 우주 기네스]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6호
- 예를 들어, 거리가 2배 멀어지면 4배만큼 어두워지고, 3배 멀어지면 9배만큼 어두워지는 거예요. 만약 모든 별이 지구에서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고 가정하면, 우주에서 가장 밝은 별은 바로 ‘M33-013406.63’이에요. 실제로는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서 망원경 없이는 볼 수 없지요 ... ...
- [특집] 돈버는 중입니다만과학동아 l2022년 06호
- 속에서 서로 상호작용하며 하나의 경제 체계를 이룬다.희동의 직업인 크리에이터를 예로 들어보자. 크리에이터는 게임 캐릭터, 아이템 등 더 샌드박스 속 세상의 보이는 요소를 구현한다. 집도, 담장을 타고 올라가는 담쟁이도, 그 앞을 걸어가는 농부 캐릭터도, 혹은 용이나 우주선까지도 ... ...
- [수학뉴스] 수학, 노력하면 잘할 수 있어요!수학동아 l2022년 06호
- ’ 또는 ‘6’과 같은 기호와 함께 빵 4개, 사과 6개처럼 구체적인 개수에 대해 알려 준 거예요. 이후 학습에 어려움을 겪던 학생들의 뇌를 fMRI로 촬영해 보니 해마와 두정엽내 고랑의 신경 회로가 이전보다 강해졌고, 4주 후 새로 본 수학 시험 성적도 평균 30%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어요. 꾸준히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