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황금책은 어디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번호를 매겼어요. 각각의 세부 항목은 또다시 10가지로 구분해 1 단위로 번호를 매기지요. 예를 들어, 300번대를 쓰는 사회과학 분야에서 정치학은 320번대로 구분하고, 정치학 중에서도 ‘정부, 국가 시스템’ 관련 책은 321번, ‘사회단체와 정부 관계’ 관련 책은 322번을 붙여요. 우리나라 도서관은 ... ...
- [별별 우주 기네스] 가장 가까운 별과 가장 먼 별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지구에 닿았어요. 빛이 1년에 약 9조 4600억km를 가니까 (9조 4600억억)km 만큼 떨어져 있는 거예요. 하지만 GN-z11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멀리 있는 별일 뿐, 실제로 우주에서 가장 먼 별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어요. 우주는 계속 팽창(부풀어서 범위가 커짐)하고 있거든요.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물체를 투명하다고 여겨요. 유리처럼 투명한 물체는 빛의 대부분을 통과시킨 거예요. 예를 들어 사과는 빨간색의 빛을 반사하기만 해서 불투명한 빨간색으로 보여요. 눈이 흰색을 띠는 이유는 모나게 생긴 아주 작은 얼음 결정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에요. 이 얼음 결정들은 햇빛을 받으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마녀, 저주를 후회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비교했을 때 호흡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다른 질병으로도 발전할 수 있어요. 예를 들면 코골이를 하면 잠을 깊게 자지 못하게 되어 수면의 효율이 떨어져요. 그럼 낮에도 꾸벅꾸벅 졸며 금세 피로해질 수 있죠. 그러니 혹시 주변에 코를 심하게 고는 사람이 있다면 의사의 진단을 먼저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꼭짓점 하나의 색을 정하고 나면 인접한 두 꼭짓점의 색이 같은 경우는 3×2×2=12 가지예요. 다른 경우는 3×2=6가지의 방법이 있으므로 18가지입니다. 이처럼 계속 구해 보면 그래프 G의 채색 다항식은 χG(q) = q4 - 4q3 + 6q2 - 3q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색이 3가지일 때를 두 가지 경우로 나눠 구했는데, ... ...
- 소수의 비밀에 다가가는 연구로 성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장 교수의 증명에 영향을 준 방법인 ‘GPY 체 법’에서 ‘Y’에 해당하는 젬 일디림 튀르키예 보아지치대학교 교수는 장 교수의 결과가 상당한 세월이 필요했던 연구임을 여러 번 역설했습니다. 요이치 모토하시 일본 니혼대학교 교수는 친한 수학자에게 ‘장 교수의 증명을 살펴보니 오래 전부터 ... ...
- [킹앤카] 소수의 아름다움을 연구한다 테렌스 타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나열이에요. 타오 교수는 소수만으로 이뤄진 등차수열을 만드는 것에 관심을 가졌어요. 예를 들어 3, 11, 19는 항이 3개인 등차수열이고, 7, 19, 31, 43은 항이 4개인 등차수열인데, 이 등차수열은 모두 소수로만 이뤄져 있지요. 이처럼 항의 개수가 몇 개이든 즉, 임의의 항의 개수에 대해 소수 등차수열이 ... ...
- 학교 밖 과학을 사랑한 예술가들 '외계공작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소재다. 강 기획은 최근 인기를 끈 드라마 ‘기상청 사람들: 사내연애 잔혹사 편’을 예로 들었다. 그는 “기상청이 배경인 드라마다 보니 사용하는 용어들이 어렵다”며 “하지만 사람들이 궁금해하고, 재미있어하는 이야기는 이 사이에 발생하는 사람들 사이의 갈등 관계”라고 했다. 이어 ... ...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화합물반도체 연구개발은 기존 실리콘이 지닌 한계를 극복할 수도 있는 분야다. 예를 들어 전기차 배터리를 소형화할 수 있다. 화합물반도체는 고온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정 기술이 실리콘반도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렵다.현재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처럼 가느다란 센서로 재활 훈련 돕는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나노입자를 흡수시켜 전기전도성을 갖게 한 뒤, 자극을 인식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압력센서는 압력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겹겹이 쌓인 구조를 갖고, 힘(스트레인) 센서는 기다란 모양으로 힘의 변화를 측정한다. 이 교수는 “실 자체를 센서로 만들어, 옷을 제작할 때 센서로 ... ...
이전5859606162636465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