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우리는 이기적으로 태어났기 때문이다”라는 문장은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도킨스는 2006년에 새로 쓴 서문에서 이 문장은 틀렸으니 마음속에서 삭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 화에서 이야기하자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동료가 그러더군요. 연락주세요. 날아가겠습니다. 그리고 결론을 내 드리겠습니다. 백 년 된 혼령이면 그 혼령이 선생님의 “원본”이 맞는지 아닌지 확인하는 일도 그다지 까다롭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 시절 복식은 충분히 연구가 돼 있거든요. 아마 1-2년 범위 안에서 연대를 특정할 수 있을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교수는 새로운 공리 없이도 두 무한집합의 크기가 같음을 보였다. 문제가 나온 지 50년만의 일이다. 2017년 7월 5일, 유럽집합론학회는 무한집합의 크기를 비교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한 두 교수를 하우스도르프 메달 수상자로 발표했다. 독일 수학자 펠릭스 하우스도르프의 이름을 딴 이 메달은 최근 ... ...
- [수학공감] 수학 교육을 바꾸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정이십면체 같은 입체도형을 만드는 게 목표였다. 관교여중 1학년 김세령양은 “무언가를 만드는 수업이라 다른 수업보다 재미있어요”라고 말했다. 학생들마다 만드는 속도가 다르지만, 느린 학생에게 빨리 만들라고 재촉하지 않는다. 중간·기말고사를 보지 않고 진로 ... ...
- [과학뉴스] 지구 최초의 동물은 빗해파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주인공인 해면동물이 지구상 최초의 동물일 거라고 생각했어요. 우선 해면동물은 5억 년 이상 된 화석이 발견돼요. 게다가 구조가 매우 단순해서 먹이가 적거나 산소가 희박한 지역에서도 살 수 있지요. 그런데 2008년, 해면동물이 아닌 빗해파리가 지구 최초의 동물이라는 새로운 주장이 나왔어요. ... ...
- [과학뉴스] 수천만 년 전 원숭이의 적혈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포유류에게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랍니다.연구를 이끈 조지 포이너 교수는 “수천만 년 전 포유류의 적혈구를 발견했을 뿐만 아니라, 기생충의 감염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 더욱 놀라웠다”고 말했어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뚫는 걸 말해요. 세계적으로 가장 깊은 시추 구멍은 러시아 콜라반도에 있어요. 1970년부터 20년 동안 무려 12.26km를 뚫었지요.‘시험 시(試)’는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言)’과 소리를 나타내는 ‘式(식→시)’로 이루어졌어요. ‘정확한 법식(式)을 아는지 말(言)을 시켜 알아보는 시험’이란 의미로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동물들에겐 충분하지 않으며, 자연이 최고의 서식처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에요.한편 작년 7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 아이레스 동물원은 동물원 자체를 폐쇄하겠다고 밝혀 화제가 되기도 했어요. 문을 연 지 141년 만에 동물들의 복지를 위해 동물원 문을 닫기로 한 거지요. 대신 그 자리엔 시민들이 쉴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앉기와 일어서기만 할 뿐 몸을 돌릴 수도 없지요. 결국 운동 능력이 퇴화된 돼지는 3~4년을 살다 도축장으로 가요.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수의 동물을 기르면 전염병도 빠른 속도로 퍼져요. 그래서 구제역과 조류독감이 발생하면 살아 있는 수십만 마리의 동물을 ●살처분해야 하지요. 실제로 지난 해 ... ...
- [에디터 노트] Back to the Science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물론, 일본도 중국도, 인도도 달로 향한다. ‘백 투 더 문(Back to the Moon)’. 달은 45억 년 동안 있어왔지만 우리가 아직 잘 모른다는 점에서 여전히 먼 미래다. 과학은 과거를 보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보는 학문이다. 한가위 달을 보며 소원을 빌어야겠다. 너무 낯익어 식상한, ‘달을 가리키는 ... ...
이전6646656666676686696706716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