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내년 2월, 첫 학부 졸업생을 배출한다.2004년 첫 삽을 뜬 지 14년 만이다. DGIST는 2011년 석·박사 학위과정을 개설하고 ... 있어야 변호사와 투자자, 팀원 등 여러 사람의 의견을 제대로 조율할 수 있다”며 “1, 2학년 때 들었던 인문학 과목이 도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컴퓨터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공부를 더 해보겠다고 1980년대 초 미국에 건너간 것이 30년이 돼버렸다. “한국에 도움이 돼야겠다는 마음의 빚이 항상 있었다”는 손 총장은 버지니아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로 재직하다가 2012년 DGIST로 옮겨 연구자로서 제2막을 열었다. 그는 “DGIST를 융복합 과학기술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유도만능줄기세포가 분화하는 과정을 보면서 병의 원인을 밝힐 수 있습니다. 2015년에 발표된 플로라 바카리노 미국 예일대 교수팀의 자폐증 연구가 그중 하나입니다(doi:10.1016/j.cell.2015.06.034). 그전까지 자폐증은 뇌의 발달 과정 중에 이상이 생겨 발병하는 질환이라는 것 외에 원인이 명확하게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젊은 물리학자를 위한 ‘ICTP상’과 젊은 수학자를 위한 ‘라마누잔상(Ramanujan Prize)’도 매년 수여하고 있습니다. ICTP에서 열리는 컨퍼런스 참가자의 3분의 1은 개발도상국 과학자들이라고 합니다. 아드리아해를 바라보며 커피 한 잔ICTP는 이탈리아 정부와 유네스코(UNESCO),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 ...
- [Photo] 바보의 金, 황철석과학동아 l2017년 10호
- 000년대 초 서울 어느 유명 백화점에서 광물 전시회를 열었다. 해외 대형 자연사박물관에 가야 볼 수 있을 법한 수준의 멋진 광물들이 전시됐는데, 최고로 주목을 받았던 전시회의 스타는 단연 황철석이었다. 노랗게 번쩍이는 광택과 매끈한 기하학적 결정이 마치 금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황철석은 ... ...
- [수학뉴스] 상금 10억 원 걸린 체스 문제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반복되는 규칙이 없어 슈퍼컴퓨터로 일일이 퀸의 위치를 대입해도 답을 찾는 데 수천 년이 걸린다는 거지요. 교수팀은 다항 시간에 답을 찾을 수 없다는 걸 증명해 이 문제가 NP-완전 이라는 걸 밝혔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을 만든다면 ‘P=NP’라는 수학계 7대 난제를 해결하는 셈이 ... ...
- Intro. 웰컴 투 무한호텔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번째 생일 파티 초대장을 받고 파티가 열리는 곳으로 가는 중이야. 장소는 무한호텔! 1924년에 생긴 가상 공간, 무한호텔에서 파티를 한다니 왠지 무서울 것 같았는데, 다녀온 사람들은 모두 그곳에 다시 가고 싶어 해. 무한호텔은 어떤 곳일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웰컴 투 ... ...
- Part 2. 오빠에게서 방을 사수하라!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오빠가 큰 방과 작은 방을 보더니 당연하다는 듯 큰 방에 들어가서 눌러앉는 거예요. 1년 먼저 태어난 게 벼슬인가. 용돈도 많이 받으면서 큰 방까지 가지려 하다니! 저도 오빠에게 무조건 작은 방에 가라고 하는 게 아니에요. 오빠도 인간이면 합리적으로 나눌 방도를 찾자고요! 방을 나누는 건 ...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아주 많다. 하지만 실시간으로 원음과 배음을 구분하는 알고리즘은 없었기 때문에 꼬박 1년간 개발해 특허를 얻었다. 여기서 잠깐. 험온은 얼마나 정확하게 음정을 읽을까? 험온을 이용해 음악 시간에 작곡을 해봤다는 박신희 서울사대부설여자중학교 교사는 “같은 노래를 5번 부르면 정확하게 ... ...
- [에디터 노트] 셀링 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초 ‘살아있는 전설’로 불리는 과학기자 데이비드 펄먼(David Perlman)이 ‘은퇴’했다. 1 918년생인 그는 올 해 우 리나이로 1 0 0세다. 펄먼은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저널리즘을 전공했고, 미 서부지역 주요 일간지인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60년 가까이 과학기사를 썼다. 펄먼이 과학 취재에 ... ...
이전6606616626636646656666676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