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30건 검색되었습니다.
적색거성 중심의 자기장은 지구의 1000만 배
2015.10.23
확인됐다. 풀러 박사는 “내부의 강한 자기장이 별의 진동을 일으키는 중력파의
에너지
를 빼앗는 것으로 보인다”며 “중력파가 바깥으로 전파되지 못하고 중심에 갇히면서 진동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온실가스가 지구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갇히는 현상과 비슷하다는 데서 이를 ... ...
농약 대신 과산화수소, 병해충 잡고 성장 도와
2015.10.21
병해충을 잡고 성장까지 돕는 ‘농작물 만능 해결사’다. 이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환경공학과 교수팀은 폐수 처리 용도로 개발됐던 촉매를 ‘과산화수소 농법’용 촉매로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21일 밝혔다. 과산화수소 농법을 위해서는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촉진할 ... ...
"디지털혁명은 최고 과학기술혁명 될 것"
2015.10.20
그는 사물인터넷이 보편화하면 소규모 발전이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가 화석연료와 원자력
에너지
를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미래 사회엔 한국이 중심국” 디지털혁명이 가속화할수록 한국의 역할이 중요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세계과학정상회의에 ... ...
스마트폰으로 수소 누출 감지한다
2015.10.19
감지 센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수소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미래
에너지
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사람이 다량 흡입할 경우 혼수상태에 이를 정도로 치명적이기도 하다. 산업 현장에서 수소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이 필요하지만 상온에서는 감시가 어려워 ... ...
뇌처럼 작동하는 ‘삼차원’ 반도체칩 개발
2015.10.19
이 칩은 기존 인공지능 반도체칩보다 면적을 5분의 1만 차지하고 절반 이하의 낮은
에너지
로도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칩은 뇌처럼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성향을 스스로 학습해 기능을 바꾸고 진화할 수 있다”며 “삼차원 방식의 반도체칩을 세계 ... ...
[뉴스 분석] 슈퍼 엘니뇨로 인한 대가뭄, 4대강으로 막기엔 역부족
2015.10.15
가뭄을 일컫는 ‘대가뭄(megadrought)’의 가능성도 제기됐다. 해수의 온도가 올라가면
에너지
도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에 평소와는 다른 패턴으로 흐르게 된다. 해류의 변화는 곧바로 기류의 변화로 이어진다. 결국 기존 기후의 규칙성이 깨지면서 세계 곳곳에서 이상 기후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 ...
스티로폼보다 100배 더 가볍다…깃털 같은 금속 개발됐다
2015.10.13
승객의 짐칸, 통로 등을 만들 때 쓸 수 있을 사용할 수 있다”며 “무게가 줄어든 만큼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잉 측은 이 물질을 2011년 11월 처음 공개한 바 있으며 이날 영상을 통해 시연내용까지 공개했다. 미국 내 매체 ‘포퓰라 메카닉스’는 이 금속을 ... ...
[단독]朴대통령, ISS 우주인과 영상통화 예정… 우주협력 확대
동아일보
l
2015.10.13
강력한 한미동맹과 긴밀한 대북(對北)공조를 재확인하고, 한미동맹을 우주, 바이오,
에너지
등 새로운 분야(뉴프런티어)로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워싱턴 방문은 역대 대통령의 방미와 닮은 듯 다른 점이 많아 눈길을 끌고 있다. 우선 우주 분야 협력이 관전 포인트다. 박 ... ...
레이저 쪼였더니 녹슨 금속이 원래대로 말짱
2015.10.12
빛
에너지
가 열
에너지
로 변환되면서 산화 금속의 전자가 갖는
에너지
가 증가했다. 전자의
에너지
가 계속 증가하다 일정 수준을 넘게 되자 환원반응이 일어났다. 산화구리의 산소가 환원제의 수산화이온(-OH)과 결합해 물을 생성하면서 구리 이온이 전자를 받아 구리로 환원된 것이다. 나노 재활용 ... ...
60배 더 잘 늘어나고, 470배 더 튼튼한 태양전지
2015.10.12
각광 받고 있다. 하지만 내구성이 약해 상용화가 어려웠다. 글로벌프론티어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연구단의 김범준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와 김택수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기존 유기태양전지에 사용되던 풀러렌을 고분자로 대체해 내구성을 기존 대비 470배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발전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