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
한
랭사막 : 강수량이 적고 일 년 내내 얼음이 얼어있는 지역을 영구빙설사막, 마찬가지로 여름을 제외하고 모든 계절 얼어 있는 툰드라지역을 툰드라사 ... 사막의 미스터리를 찾아라!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
한
생물미스터리 3. 사막에 나타난 유령의 ... ...
건전지VS충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저장할 수 있지요. 전지를 사용할 때는 (-)극에 저장된 리튬이온이 (+)극으로 이동
한
답니다. 이 과정에서 전자가 함께 이동하며 전기에너지를 만들지요. 반대로 충전을 하면 (+)극으로 이동했던 리튬이온이 다시 (-)극으로 돌아와요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한
곡의 크기가 5MB 정도이니, 약 4000만 곡이나 되는 엄청난 용량이지요. 연구팀이 해결
한
문제는 ‘불린 피타고리안 수 문제’입니다. 변수로 숫자 0 또는 1을 넣어 식의 값을 1로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문제입니다.연구팀은 1부터 7824까지의 수를 파랑색이나 빨강색으로 칠하는 ... ...
[지식] 들쭉날쭉 요동치는 화폐의 힘겨루기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방학을 맞아 온 식구가 일본 여행을 가려고 했어요. 부모님께서는
한
참 남은 여행이니 환전은 나중에 하신다고 했고요. 그런데 6월 24일, 지구 반대편에서 브렉시트 사 ... 환율이 조금씩 변하긴 했지만 아직 큰 변동은 없습니다. 앞으로 환율이 어떻게 변할지
한
번 예측해보는 건 어떨까요 ... ...
PART 1. 누가 누가 잘할까? 미리 알아보는 올림픽 순위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
한
것을 의미
한
다.무슬림★무슬림 국가는 스포츠에 대
한
지원이 적고, 특히 여성의 참여 비율이 낮다.올림픽 순위는 금메달 개수 순으로 매기거나 총 메달 개수 순으로 매긴다. 브레트만 연구팀은 후자의 기준을 적용했다.예측 결과에서 가장 눈에 띄는 나라는 리우 ... ...
[재미] 매미에게도 귀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여름에는 매미가, 가을에는 귀뚜라미가 개성 있는 울음소리를 냅니다. 곤충에게는 사람 귀와는 분명히 다르지만 소리를 듣는 기관이 있어요. 놀라운 사실은 우리가 듣는 것 ... 우리 귀에는 시끄럽기만
한
울음소리도 매미들에게는 분명히 아름답고 로맨틱
한
세레나데처럼 들릴 거예요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이 사람을 만든다
수학동아
l
2016년 08호
좋았어요. 모든 게 정말로 어제의 일인 것 같은데 벌써 문집을 완성했네요. 지금까지 다양
한
프로젝트 활동을 해봤지만 이렇게 서로 다른 팀이 또 하나의 큰 팀으로 묶이는 프로젝트는 처음이었어요. 체계적으로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진짜 잡지를 만드는 회사에 다니는 느낌도 들었어요. 정말 ... ...
[과학뉴스] 샴푸, 마지막
한
방울까지 짜 쓰려면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마이크로미터 크기(μm·100만 분의 1m)의 미세구조가 생겼다. 실험 결과, 이렇게 처리
한
플라스틱은 세정제가 달라붙지 않고 빠르게 흘러내렸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자동차 전조등이나 의료용품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과학뉴스] “또렷하게 보려고” 눈 굴리는 갯가재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편광을 볼 수 있다.연구팀은 갯가재가 눈을 굴려서 빛의 편광각에 맞게 광수용체를 정렬
한
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광수용체가 정렬되면 사물에만 집중함으로써 더 또렷이 볼 수 있다. 공동저자인 니콜라스 로버츠 연구원은 “갯가재는 12가지 색으로 세상을 인지하는 등 사람과 다른 시각체계를 ... ...
[과학뉴스] 심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 탄생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세계 최초로 동물세포로 움직이는 가오리로봇이 개발됐다. 동물을 모방하는 생체모방공학과 세포를 빛으로 조절하는 광유전학 기술을 결합
한
‘작품’으로 평 ... 보통 힘이 약하고 움직임을 지속적으로 반복하지 못하는데, 가오리로봇 역시 이런
한
계점을 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