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줘. 외로운 악마에게는 자식 같은 존재란 말이야.”갑자기 친절해진 벨페고르에 안심
한
천사는 비밀의 집 이곳저곳을 파헤치기 시작했어요. 그러다가 누군가 마룻바닥에 감춰 놓은 함정에 빠지고 말았어요. 끊임없이 추락하는 천사, 이 함정은 어디로 통하는 걸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
수학동아
l
2016년 09호
참가
한
친구들이
한
국의 토마스 슈어즈가 될 수 있을지 기대되는군요. 수업을 진행
한
오규환 교수님은 “이번 게임카페는 게임 기획부터 출시까지 실제로 게임이 개발되는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소감을 밝혔어요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노벨상 수상자 111명과 과학자와 일반 시민 5769명이(8월 17일 기준) 환경 운동단체에게 유전자변형작물(GMO)을 반대하는 활동을 중단하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과학자와 환경단체 사 ... 근거를 가지고 이성적으로 접근해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
한
것이다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장내미생물이 유아의 발달 과정과 성인의 여러 가지 면역 및 신경계 질환에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이라는 추측에 힘이 실린다. 인간이 가진 수만 종의 미생물 가운데 오랜 시간 공진화해온 미생물에 연구자들이 더 주목해야 하는 이유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장내미생물이 제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패배자로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환경에 적응해 살고, 그 곳에선 승자가 되기도
한
다. 식물은 그 어떤 동물보다도 자신의 자리를 찾아 더 빠르고, 힘차게 움직이고 있다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계속 보시려면?Intro. 거대도시건축학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PART 2. 거대 도시 이룩
한
메가스트럭처Bridge. 국내 최장 해저터널 건설현장을 가다PART 3. 거대 도시가 ... ...
[Tech & Fun] ‘헬조선’의 불행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2010년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심리학자 에드 디너 교수 연구팀이 실시
한
행복도 조사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130개국 중 뒤에서 15번째로 행복
한
나라였다. ... 방법이 집단주의 청산에 있을지도 모른다. ‘건강하고 행복
한
개인이 모여 건강하고 행복
한
사회를 만든다’는 말을 다시 떠올려보자 ... ...
[Tech & Fun] 휴대전화를 썼는데… 길이 생겼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공개함으로써 책임성을 강화하는 것이 우선이겠지만, 기술의 정확성도 높여야
한
다.
한
연구원은 “정확하고 객관적인 수요예측기술이 발달하면 지역 간의 대립에 더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Tech & Fun] ‘싸인’의 ‘아이돌 살인사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2011년 SBS에서 방영
한
드라마 ‘싸인’은 우리나라 최초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배경으로
한
수사 드라마입니다. 드라마 첫 회를 장식
한
에피소드는 실제 1995년에 일어났던 가수 ... 타락
한
법과 정의는 그 흔적마저 모두 지울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 뒷맛이 씁쓸
한
드라마였습니다 .. ...
[Career] 봉사 활동? “직접 만든 애플리케이션으로 해요”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37편이 2차 심사에서 경합을 벌였다. 2차 심사에서는 프로그램 시연과 발표를 했으며, 희망
한
팀에게는 소프트웨어 전문 교사의 멘토링을 받을 기회를 제공했다. 최종심사에서는 초중고 각 부분 대상과 최우수상 등 총 21팀이 수상의 영예를 얻었다. 시상식은 7월 27일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렸다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