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2) 제시문에 주어진 개념에 대한 이해와 파동에 관한 교육 과정 내 배경지식을 활용해
문제
를 해결합니다. 해저 모방 반사면의 정의를 이해하고, 메탄하이드레이트 발견과의 상관 관계 추론합니다. 또한 해수(액체)와 해저 퇴적층(고체), 해저 모방 반사면(기체)의 상태 차이를 인식한 후, 횡파가 아닌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다치기도 쉽고. 또 직선으로 종이를 자르려다가 자를 긁어 버리는 경우도 많지? 이
문제
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슈퍼자를 만들어 볼까?해결스테이플러처럼 윗판과 아랫판으로 나눠져 있는 이 자는 각 판의 아래에 고무판을 대어 칼자국이 바닥에 남지 않게 했어. 또 칼을 사용하다 보면 손을 ... ...
PART 3 수학이 안 쓰이는 게 있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아하, 그런 거였어. 수학이 사라지면 골치 아픈 게 하나 없어질 줄 알았는데 새로운
문제
가 잔뜩 생기네.” “수학이 사라져서 오늘 즐거웠니? 오늘 밤이 지나면 넌 수학방해파를 가진 채로 평생을 살 수 있어. 하지만 네가 원래대로 돌아가길 바란다면 오늘 밤이 지나기 전에 수학을 돌려 달라고 ... ...
함수는 커플매니저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대응시켜 주는 건 가능하거든요. 그 뒤에 두 사람이 어떤 결정을 하던 그건 두 사람의
문제
일 테니까요.사랑 : 선생님, 질문이 있어요. 집합 X에 원소가 남아 있으면 함수가 아니라고 했잖아요. 그런데 집합 Y에는 원소가 남아 있어도 함수가 되는 건 왜인가요?선생님 : 두 집합 중 주인공은 집합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을 하듯 논리적으로 일을처리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뿐만 아니라 도구를 만들어
문제
를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까지 밝혀졌답니다.와! 도구까지 만든다고요? 생각보다 머리가 더 좋으시네요!그 ‘생각보다’라는 말도 이제는 수정해야 할 거예요. 우리는 도구 만드는 능력을 새끼들에게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물론 멀리 일본 근처까지 헤엄쳐 다닌다는 사실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단다. 아하!
문제
의 신호는 바로 은북이가자기 위치를 알리느라 보낸 거였구나….바다에서 들려오는 신호음은 멀리서 안부를 전해 온 바다거북 은북이의 메시지! 임무 완료! ▲ 지난 해 10월 5일에 바다로 가는 은북이의 모습 ...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택시 기사 옆에 앉은 지성이는 행선지로 학교 이름을 말한다.그런데 차가 출발하면서
문제
가 발생한다. 택시의 속도계가 제멋대로 표시되며, 미터기의 요금도 쉬지 않고 올라가는것이다. 택시기사는 속도계 때문에 사고가 날 수 있어 차를 멈춘다. 그리고 운행할 수 없다고 말한다.자동차 운전석에 ... ...
Part 6.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어떤 관계가 있는 건 아니지만 그때의 경험이 수학자가 되는데 영향을 미쳤고, 또
문제
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경험이었어요”라고 이야기해 주셨어. 필즈상 수상자 업적➊ 스타니슬라프 스미르노프 교수스미르노프 교수님은 삼각격자 위에서 침투이론을 설명하는 카이 공식과 등각 ... ...
Part 7. 필즈상 수상자와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특수함수로 바꿀 수 있다는 거야. 쉽게 말하면 어려운 특수함수
문제
를 쉬운 특수함수
문제
로 바꿔 풀수 있다는 거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한글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동시에 허락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다음 신호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문제
점이 있다. 각 방향마다 녹색 신호를 주다 보니 4번에 1번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직진을 중심으로 하는 신호가 점점 많이 쓰이고 있다. 한 번은 A와 C를 오가게 하고 다음은 B와 D를 오가게 해 ... ...
이전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