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물론 멀리 일본 근처까지 헤엄쳐 다닌다는 사실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단다. 아하!
문제
의 신호는 바로 은북이가자기 위치를 알리느라 보낸 거였구나….바다에서 들려오는 신호음은 멀리서 안부를 전해 온 바다거북 은북이의 메시지! 임무 완료! ▲ 지난 해 10월 5일에 바다로 가는 은북이의 모습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 3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무섭게 생긴 괴물들은 사실 심해에 사는 착한 물고기들이었어. 나와 으냥이가 자신들의
문제
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거라며 우리를 열렬히 환영해 주었지. 심해에는 빛이 잘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심해에 사는 물고기들은 눈이 좋지 않아. 그래서 자신들이 잃어버린 그림자를 찾을 수가 없다나? 웬디가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하지만 최선을 다해 동점을 만들었더라도 무승부로 끝나면 진 경기와 같게 되는
문제
점이 남았다.프로축구처럼 승 3점, 무승부 1점, 패 0점의 승점을 주는 방식을 도입하자는 주장이 있다. 하지만 축구와 달리 야구는 비 때문에 경기를 치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경기를 적게 치른 팀은 승점이 낮을 ... ...
새가 도구를 만들고 교육까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을 하듯 논리적으로 일을처리할 수 있다는 뜻이지요. 뿐만 아니라 도구를 만들어
문제
를 해결하는 능력이 있다는 사실까지 밝혀졌답니다.와! 도구까지 만든다고요? 생각보다 머리가 더 좋으시네요!그 ‘생각보다’라는 말도 이제는 수정해야 할 거예요. 우리는 도구 만드는 능력을 새끼들에게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유리수로 나타내는 방법인 리틀우드 추측을 해결하셨어. 리틀우드 추측은 80년간 미해결
문제
로 있었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한글 자음 'ㅇ'은 숫자 ... ...
신호는 도로 관리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동시에 허락하는 방법도 있다. 하지만 두 방법 모두 다음 신호까지 오래 기다려야 하는
문제
점이 있다. 각 방향마다 녹색 신호를 주다 보니 4번에 1번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이다.그래서 직진을 중심으로 하는 신호가 점점 많이 쓰이고 있다. 한 번은 A와 C를 오가게 하고 다음은 B와 D를 오가게 해 ... ...
수학울렁증을 이겨 내자!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여러 방법으로 풀어 봄으로써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주는 역할을 해요.
문제
의 요점을 찾아 그것을 해결 능력을 기르려면 수학은 꼭 필요해요.김연비 선생님: 역기운동을 하는 모든 어른들이 장미란 선수처럼 올림픽에 나가려고 하는 건 아니잖아요. 팔 힘과 근력을 기르기 위해서 하죠. ... ...
규칙 찾기의 달인,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시간에 따라 변하는 거리를 함수로 만들고 이를 표와 함수식으로 만든 실제 예를 통한
문제
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걸음을 걸을 때도 시간에 따른 걸음의 함수를 생각해 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역사, 그리고 실생활 속의 통계함수의 유래주말에 아빠와 자동차를 타고 가며 자동차의 속도 계기판을 ... ...
하늘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열권을 대기층에 포함시킨다.그런데 지난 2008~2009년 태양활동 극소기에 열권에서 심각한
문제
가 발견됐다. 미해군연구소(NRL)의 존 에머트 박사팀은 열권의 공기역학적인 마찰이 인공위성의 속도를 변하게 한다는 사실을 이용해 열권의 대기 밀도 변화를 산출했다. 궤도가 변했다는 것은 인공위성의 ... ...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체벌을 피하기 위해 거짓말과 같은 요령을 배운다. 체벌의 기준이 일정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
다.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게 아니라교사에 따라 체벌의 유무나 정도가 들쭉날쭉하기 때문에학생도 교사의 성격에 맞춰 행동한다. 바람직한 행동을 배운다기보다는 학교에서 살아남는 요령을 익히는 셈이다. ... ...
이전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