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프린스턴천문대 교수와 그의 제자 리신 리 박사(현재 중국 베이징대 카블리 천문학및천체물리학 연구소 교수)는 1998년 두 개의 중성자별이 충돌하면 짧은 주기를 갖는 초신성인 ‘킬로노바(Kilonova)’가 발생할 거라는 이론을 제안했다. 이 광학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후 많은 모델이 제안됐는데,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력파는 2015년 9월 처음 관측된 이후 2016년 발견이 공식적으로 인정됐고, 올해 물리학상 수상에 성공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이후 최근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는 생리의학상 수상에 실패(?)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현재 특허권을 둘러싸고 법적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왔고, 9월 15일 마지막 임무로 토성 대기권에 진입해 소멸했다. 캐나다 토론토대 이론천체물리학연구소 매트 루소, 댄 타마요 박사후연구원은 토성의 고리들과 주요 위성의 공진 주기를 27옥타브 증가시켜 인간이 귀로 들을 수 있는 범위의 음계로 변환했다. 토성의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많은 변화가 일어난다”고 말했다. 나 연구원은 또 “어릴 적 과학자라는 꿈에서 해양 물리학자가 되기까지 선택의 연속이었다”며 “연구단은 아직 무한한 가능성이 있는 만큼 두려움 없이 매 순간에 집중하다보면 꿈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재영 군(대전 과학고 2학년)은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의 과학발전에 이바지하는 젊은 물리학자를 위한 ‘ICTP상’과 젊은 수학자를 위한 ‘라마누잔상(Ramanujan Prize)’도 매년 수여하고 있습니다. ICTP에서 열리는 컨퍼런스 참가자의 3분의 1은 개발도상국 과학자들이라고 합니다. 아드리아해를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8억 년 전 우주의 탄생부터 인류 문명의 발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피는 거대한 이야기다. 물리학, 화학, 천문학, 지구과학, 사회학, 인류학, 역사학, 철학 등 여러 학문의 경계를 넘나들며 지역과 시대, 문화별로 파편화된 정보를 연결해 하나의 대서사를 구성한다. 한 마디로 말해 ‘모든 존재의 ... ...
- Part 6. 무한은 칸토어가 만든 낙원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수 있었던 방정식을 무한차원에서도 풀 수 있는지’, ‘무한호텔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지’와 같은 물음도 최근에야 해결됐다. 인류가 언제 무한의 세계를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인류의 호기심과 도전은 끝이 없다. 힐베르트가 말한 것처럼 ... ...
- [과학뉴스] 수술하다 마취 풀릴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휴먼브레인맵핑’ 9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신마취 환자의 뇌에서 나오는 뇌파를 물리학의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해서 분석했다. 자연 상태의 물질은 질서가 있는 상태에서 무질서한 상태로 변해가는데, 엔트로피는 그 ‘무질서도’를 뜻한다. 연구팀은 이 개념을 적용해 마취 환자의 뇌에서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왜 서로 반대방향으로 꼬여 있는지에 대한 답을 특정 전공 서적이 아니라 생화학, 생물리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등 여러 가지 생물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설명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진로 신생 연구실인 만큼 아직 박사과정 졸업생이 없다. 하지만 이 연구실을 졸업하면 분자신경생물학 및 ... ...
- 날아가던 새가 야구공에 맞을 확률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처리됐다. 이후 이 사건을 재현해보거나 일어날 확률을 계산해 보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물리학 커뮤니티인 ‘피직스포럼’의 네티즌 quora는 분자가 자유운동할 때 다른 분자와 충돌하기까지의 평균 거리인 ‘평균 자유 거리’ 공식을 이용했다. 그리고 이 공식으로 사건이 벌어지기 위해 필요한 ... ...
이전6162636465666768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