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지구과학은 네이처출판그룹이 매달 발행하는 국제학술지다. 지구물리학과 지질학, 지구대기학, 빙하학, 고생물학 등 지구과학 관련 모든 연구를 아우른다. 올해 5월호에는 이성근 서울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진행한 지층 속 석영의 녹는점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석영이 99%를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발표한 이 졸업논문은 이후 그의 연구에도 중요한 이정표가 된다. 호킹이 이 논문 하나로 물리학계에서 스타덤에 오른 건 아니었다. 특이점 정리에서 자신감을 얻은 그는 빅뱅 우주론과 마찬가지로 특이점 문제가 발생하는 블랙홀에 주목한다. 결국 블랙홀에 존재하는 특이점 역시 충분히 생길 수 ... ...
- [과학뉴스] 격자로 알루미늄 접어 소음 차단벽 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도로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다양하다. 무거운 짐을 싣고 달리는 트럭은 낮은 주파수의 소음을 내고, 같은 자동차라도 평소보다 빨리 달리면 더 ... 회절 현상을 일으키며 퍼져나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응용물리학저널’ 10월 17일자에 실렸다. doi:10.1063/1.499102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샘플을 시추해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자오다펑(趙大鵬) 일본 도호쿠대 지구물리학과 교수도 백두산이 자극받았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자오 교수는 중국 출신으로 베이징대를 졸업한 뒤 줄곧 일본에서 연구해 온 일본의 대표적인 화산학자 중 한 명이다. 특히 그는 논문 당 피인용 횟수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니치아 화학공업에서 근무하던 슈지 나카무라 박사가 파란색 LED를 개발해 2014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것을 계기로 파란색 LED를 기반으로 한 백색 LED가 상업화됐는데, 발광 효율이 낮고 색상이 자연스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기술이 바로 근자외선 LED에 빨강,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휴 동안 노벨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됐다. 중력파는 검출된 시점부터 물리학상을 받을 걸로 예상돼 왔다. 화학상과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극저온전자현미경, 생체시계 연구도 ‘왜 진작 노벨상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중요한 업적이다. 그런데 사실 강력한 수상 후보가 하나 더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방식이다. 이때 흑연 결정의 크기가 그래핀의 넓이를 결정한다. 실제로 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영국 맨체스터대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 흑연에 셀로판 테이프를 붙였다 떼어내는 간단한 방법으로 그래핀을 얻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화학기상증착법(CVD)’이 있다. 이는 ...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걸어!올해 이그노벨상 유체역학 부문에는 한국인이 선정됐다. 주인공은 미국 버지니아대 물리학과에 재학 중인 한지원(Jesse Han) 씨. 한국인으로는 네 번째다. 그는 커피 컵을 들고 움직일 때 커피가 어떻게 흔들리는지, 넘치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연구한 결과를 지난해 6월 생명과학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완벽한 단위’를 찾는 과학자들의 노력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이광철KAIST에서 물리학 학사, 포스텍에서 기계공학 박사를 받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키블 저울을 개발하고 있다. kclee@kriss.re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못했다(과학동아 2017년 1월호 참조).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해 쿠벤호벤 교수와 입자물리학의 석학인 찰스 마커스 덴마크 코펜하겐대 교수, 마티아스 트로이어 스위스 취리히연방공대 교수, 데이비드 레일리 호주 시드니대 교수 등과 마요라나 페르미온 양자컴퓨터 개발을 본격적으로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