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양간
우사
울타리
담장
담
가축 우리
닭장
뉴스
"
우리
"(으)로 총 9,7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민상담] “여자친구랑 헤어진 뒤 자꾸 아파요, 저주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5.01
수면은 망각의 직효약이다. 학술지 ‘사이언스’ 2월호에 실린 연구에 따르면 자는 동안
우리
뇌는 신경활동을 크게 축소하며 그때 일종의 ‘기억 재설정’ 과정이 진행된다. 뇌의 신경세포끼리 연결하는 시냅스의 크기가 평균 18% 줄어든다. 새로운 기억과 정보를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 ...
5월 황금연휴, 볼 만한 영화 총정리!
2017.05.01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5월 3일 개봉하는 ‘보스 베이비’는 동화 작가 말라 프레이지의 ‘
우리
집 꼬마 대장님’을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 한없이 귀여운 아기가 알고 보니 ‘베이비 주식회사’의 카리스마 넘치는 보스라는 재기 발랄한 설정으로 어른들까지도 심쿵하게 만들 속셈이다. ‘슈렉’, ... ...
[퀴즈] 맥주는 와인잔에 마셔야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30
담아 마신다면 어떨까요. 생각하는 것만큼 따뜻한 느낌이 나지는 않을겁니다. 이렇게
우리
는 음료를 마실 때 그에 어울리는 컵을 찾기 마련인데요. 정말 맥주는 맥주컵에 와인은 와인잔에 마시는 것이 가장 맛있을까요? 아래의 퀴즈에서 알아 보세요! [컵 관련기사] 1. 와인 잔에 든 맥주가 더 ... ...
[때와 곳 3] 묘소: 마지막으로 이사한 집
2017.04.29
못한 그 ‘곳’을 시인의 눈길과 마음의 손을 잡고 함께 가만히 동행해보면서,
우리
가 살아가는 시공간의 구체적인 현지와 생생한 감수성을 잠시나마 발견하시길 바랍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5분의 추억’과 ‘고단’이 있으며, 동아사이언스 [생활의 시선]을 연재했다 ... ...
근력 좋은 아이가 기억력도 좋다!
2017.04.29
다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여기에 운동을 통한 근력이 기억력에도 영향을 준다고 하니
우리
아이들에게 운동을 시키지 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GIB 제공 연구진이 근력이 기억력에도 좋다는 사실을 확인한 실험은 다음과 같습니다. 9~11세 사이의 79명 어린이들에게 상체, 하체 및 코어 운동을 포함해 ... ...
“과학기술 시스템 혁신으로 성장 한계 돌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8
임기철 KISTEP 신임 원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제공 “
우리
나라 국민소득은 10여 년째 3만 달러를 넘지 못하고 있어요. 성장동력이 한계에 부딪힌 것이지요 ... 지역을 방문하라는 것”이라며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 올바른 혁신 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우리
의 할 일”이라고 말했다. ... ...
손이 없어도 다른 부위로 손을 대신할 수 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4.28
성인에게선 이런 변화가 제한적으로만 나타났다. 마킨 연구원은 “이번 연구가 맞다면
우리
는 상당히 오랫동안 뇌를 잘못 이해하고 있었던 것”이라며 “의수를 이용한 교육 등 신체장애인 정책을 세우는 데 중요한 발견”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20일자 ... ...
죽음으로 불행을 말하는 동물원 동물들
2017.04.28
최근 동물원을 없애고 가상현실(VR) 동물원으로 대체하자는 주장을 내놨다.
우리
나라에서도 지난해 동물원법이 처음 제정됐다. 동물 복지의 첫걸음이지만, 복지보단 시설등록 등 관리 위주라는 아쉬움도 있다. 이용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현행 동물원법은 전시동물 복지 관련 내용이 ... ...
가장 무서운 꽃
팝뉴스
l
2017.04.27
떨어지고 나면 무서워진다. 해적선의 상징인 해골을 닮게 된다. 해골처럼 보이는 꽃은
우리
식으로는 액땜 역할도 한다는 통설이 있다. 스냅드래곤을 키우는 집으로 잡귀나 불운이 접근할 수 없도록 막는다는 믿음이다. 말라버린 꼬투리는 공포감을 자아내지만 긍정적으로 해석되기도 하는 것이다. ... ...
국내 관측 시스템 최초 ‘지구형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4.27
이충욱 천문연 책임연구원은 “지상망원경(KMTnet)과 우주망원경(스피처)을 함께 활용하면
우리
가 두 눈으로 사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듯 지구와 외계행성의 거리를 정확히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발견한 행성은 질량이 지구의 1.43배이며 암석으로 이뤄졌을 가능성이 높다. 중심별(항성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