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도중
사이
틈
중도
동안기후
기후
뉴스
"
동안
"(으)로 총 12,12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의 입자’ 입증한 CERN, 업그레이드 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한국 CMS팀이 개발한 RPC 검출기는 제1차 가동 기간(2009~2013년), 제2차 가동(2016~2018년) 기간
동안
CMS에서 이상 없이 작동해 힉스 입자 발견에 기여했다. 김 교수는 현재 16개 나라 28개 대학의 RPC 검출기 제작 기관이 모여 의견을 조율하는 회의에서 의장을 맡고 있다. 김 교수는 “10년 전과 비교하면 CERN ... ...
'물개 새끼가 살아 남은 비결'
팝뉴스
l
2019.07.04
물개가 나온다. 양은 죽었는데 버림을 받은 물개 새끼가 죽은 양의 젖을 빨면서 며칠
동안
생존했다는 설명이다. 설명대로라면 아주 다행이다. 또한 물개의 생명력이 놀랍다. 그런데 물개는 어떻게 풀밭에 버려졌을까. 양이 곁에 있었던 것은 우연일까. 그리고 그 후 물개는 생존했을까. 해외 네티즌 ... ...
자취 감춘 태양...천문硏, 개기일식 관측사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시작 시간은 현지시각 2일 17시 39분 41초(한국 시각 3일 05시 39분 41초)로 총 2분 27초
동안
진행됐다. 천문연구원은 전영범 박사를 대표로 총 6명이 태양 코로나 영상 분광 관측을 위해 현지 원정 관측에 나섰다. 천문연구원은 “관측 가능한 다음 일식은 12월 26일 금환일식으로 한국에서는 ... ...
출범 8년 배출 스타트업만 29개…스마트 융합기술로 유니콘 기업의 요람을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이뤘다. 연구단 단장을 맡고 있는 경종민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예교수는 “지난 8년
동안
연구를 진행하며 29개의 스타트업이 창업을 했다”며 “지금까지 약 310억원의 투자유치를 이뤄냈고 기술이전을 통해 약 31억원의 정액기술료 실적을 올렸다”고 설명했다. 휴대용 고해상도 근적외선 ... ...
우주정거장에서 찍은 것 같은 사진
팝뉴스
l
2019.07.03
모습을 담은 사진처럼 보인다. 촬영 장소는 바로 국제우주정거장일 것이다. 하루
동안
16번 지구를 도는 우주정거장에서 우주인들이 촬영한 아름다운 지구 사진을 우리는 많이 보아 왔다. 그런데 위 사진은 우주정거장에서 촬영된 것이 아니다. 실은 정반대의 위치에서 촬영된 것이다. 즉 지구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못해 수면의 질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수면무호흡증이다. 잠을 자는
동안
수십초에 걸쳐 숨을 멈추는 수면장애다. 역시 수면다원검사를 하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지, 밤새 몇번이나 나타났는지, 또 어떤 종류의 수면무호흡증인지 알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7월부터 ... ...
스트레스 받은 뇌, 줄기세포는 스스로를 먹어 파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원인이 되며 심할 경우 치명적인 퇴행성 뇌질환이나 뇌손상 위험을 높인다. 하지만 그
동안
스트레스가 뇌 기능 손상을 일으키는 정확한 과정과 치료법은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동물 실험 결과 스트레스를 겪은 생쥐는 해마 부위에서 새로운 신경세포가 태어나는 ‘성체 신경발생’이 줄어드는 ... ...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정확하게 예측하면 효소 및 대사 관련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EC 번호를 예측하는 컴퓨터 방법론들이 10개 이상 개발됐다. 이들은 모두 예측 속도, 예측 정확성 및 예측 가능범위에서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생명공학에서 이뤄지는 연구의 속도와 규모에 적합하지 ... ...
"국내서 개발하는 선박용 소형원전 군사 전용 우려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교수가 4년 내 개념설계를 완성할 소형 원자로는 모듈형이다. 핵연료를 한번 넣으면 40년
동안
핵연료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 보통 상용 원전에서 핵연료 교체는 3~7년 주기로 이뤄진다. 비용도 많이 들지만 사용후핵연료를 만들어내기 때문에 핵확산 위험, 폐기물 처분 등 필연적인 우려가 따른다. ... ...
태아의 뇌 발달 조절하는 메커니즘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섬모를 뻗어 뉴런을 이동시키는지 과정은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뉴런이 발달하는
동안
신경줄기세포에 아녹타민1 유전자가 특히 많이 발현됐음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는 염소이온을 세포 안팎으로 통과시키는 세포막단백질인 염소이온채널을 만든다. 연구팀이 아녹타민1 유전자가 결핍된 ... ...
이전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6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