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건강 근육, 몸짱 근육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복근을 가진 연예인들을 살펴보면 4개, 6개, 8개 등 사람마다 다양하다. 복근의 모양과 개수는 태어날 때 정해진 것이며 운동을 통해 이 근육을 도드라지게 하는 것이다.복근은 다른 근육에 비해서 키우기가 어렵다. 오랜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훈련을 해야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몸을 비트는 ... ...
- 24시간 태양이 빛나는 북극 다산기지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열린 국제북극과학위원회(IASC) 회의에서 정식 회원국가로 가입했어요. 최근 북극연안 8개국으로 구성된 북극위원회에서 세계 7번째로 영구 옵저버로 선정돼 위상이 크게 높아졌지요. 우리나라가 할 수 있는 연구도 더 늘어날 거예요.차가운 바닷물에서 따뜻한 희망을 건지다다산기지가 있는 ... ...
- [퍼즐탐정 썰렁홈즈]식물나라 나무의사, 꼬따고 쁘리뽀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떨어져 터져 버린다.“지금 황금똥 열매가 한꺼번에 100개나 열렸어. 한 시간에 우리가 몇 개나 터지지 않게 딸 수 있을까?”미션4 잠만 자는 잠자는숲속의선인장“사실 이번 환자가 가장 문제라네. 지금까지 나왔던 건 아무것도 아냐.”가시 넝쿨이 가득한 가시 숲 안에 ... ...
- INFO - 우리는 어떻게 초끈이론에 이르렀을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지난해 7월 힉스를 발견하면서 현대물리학의 대표적인 이론인 표준모형이 예측한 17개의 기본 입자는 모두 발견됐다. 그러나 과학자들은 표준모형으로도 설명하지 못하는 아주 작은 세계를 들여다보면 그곳엔 ‘진동하는 끈’이 있다고 이야기한다.모든 물질이 10-35m 단위의 아주 작은 끈으로 ...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한센병을 일으키는 마이코박테리아 균주로 밝혀졌다.이 균주의 현대 후손은 게놈이 330만 개의 염기서열로 이뤄져 있는데, 연구팀은 이 염기서열을 게놈 100벌 분량 모은 뒤 차세대 게놈해독기술로 분석했다.보통 게놈 분석 때 사용하는 염기서열은 게놈 20벌 분량이므로, 연구팀의 자료는 훨씬 ...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만들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이번 판결은 인간의 유전자가 특정 개인의 것이 아니라 인류 모두의 자산이라는 점을 되새겨 줬다. 유전자뿐만 아니라 단백질, 세포 등 적어도 생명체에서 나온 모든 것은 생명에게 권리가 있다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년 07호
- A 성분이 포함되도록 외래유전자를 삽입한 품목이다.현재 한국 정부는 다양한 GMO를 개발해 수출국으로 성장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동안 수입 GMO 논란만을 접해온 한국인에게 향후 ‘국산 GMO’가 새로운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즉 우리가 만든 GMO를 외국에서 배척하거나 규제하는 상황을 보게 될 ... ...
- [화보] 수학으로 질주하라!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등을 구해서 전체적으로 이어지는 곡선을 만들면 스플라인 함수가 된다. 즉, 여러 개의 고차다항식 곡선을 부드럽게 이어나가는 셈이다. 이때 최고차항의 차수가 높을수록 곡선은 둥근 모양이 된다. 스플라인 함수는 자동차 디자인을 모델링 할 때 주로 사용된다. 보통 자동차를 디자인할 때는 먼저 ... ...
- [수학뉴스] 수학을 잘해야 영어도 잘한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도형을 8개의 그룹으로 나눈 후, 언뜻 보기에는 잘 드러나지 않는 규칙대로 도형이 한 개씩 지나가는 동영상을 이 학생들에게 10분 동안 보여 주었다. 연구팀은 학생들이 동영상을 보고 도형의 규칙을 얼마나 알아채는지 32점 만점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이 학생들에게 1학기와 2학기에 한 번씩 ...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3년 07호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신기한 일만 찾아다니는 ‘세상에 이런 일이!’의 최 PD입니다. 제가 놀라운 이야기 하나 해 드릴까요?글쎄, 인간도 어려워하 ... 무리짓기, 날갯짓 패턴 등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수학적인 원리는 뇌 연구에서 로봇 개발까지 다양한 첨단 연구의 시작점이 되고 있다 ... ...
이전6546556566576586596606616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