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제 누구보다 알차게 여행할 준비를 갖췄으니 떠날 일만 남았네요. 학업과 업무 등 여행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를 훌훌 털고 떠날 수 있길 바랍니다. 참, 생각나시면 과학동아 카톡에 인증샷 한 장 남겨주시는 센스를! + 더 읽을거리A theoretical foundation for multi-scale regular vegetation patte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대명사, 새흔히 새는 곤충이나 과일류만 먹는다고 생각하지만 벌새와 태양새, 꿀빨이새 등은 꽃의 꿀을 먹고 살아요. 이들은 식물에게 성실한 배달부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새는 몇 가지 장점을 갖고 있어요. 우선 수명이 길어요. 꿀벌이 최대 150일 사는 반면, 벌새는 최소 2년에서 최대 11년까지 살 수 ... ...
- 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둘이, 둘보다는 셋이 함께 즐겨야 제맛이 난다. 그래서일까. 영국과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세계 22국에서는 유희수학을 즐기기 위해 매달 두 번째 마지막 주 화요일 저녁에 집을 나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즐거운 퍼즐 파티 매스잼Part 1. 웰컴 투 매스잼Part 2. 퍼즐 즐기면 수학 실력 업 ... ...
- [과학뉴스] 짜서 만드는 전자옷감 메모리 나온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나타났다. 연구팀은 베틀로 이 소자를 옷감 형태로 짜서 구기고, 뒤틀고, 세탁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자극을 줬다. 하지만 소자는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이 교수는 “섬유 산업에서 사용하던 장비들을 그대로 활용해 넒은 면적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버틸 수 있게 한다고 추정했다. 건조 상태에서 잘 견디는 효모나 박테리아, 일부 선충 등에서 공통으로 트레할로스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거듭된 실험 끝에 물곰의 몸에서는 트레할로스가 전혀 나오지 않으며, 유전자 분석에서도 이 당을 만드는 유전자를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 ...
- [과학뉴스] 거미집 모방해 바이오센서 능력 UP!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성능을 높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김철기 DGIST 신물질과학전공 교수팀은 단백질과 DNA 등 바이오 분자에 나노 크기의 초상자성 입자를 부착했다. 초상자성입자는 주변에 자기장이 있을 때만 자석으로 변하는 입자다. 또 거미줄 모양을 본 따 미세 자기장 패턴을 만들고 중심부에 바이오센서를 놓았다 ... ...
- [과학뉴스] 꽃가루는 얼마나 날아갈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머문다는 통념이 틀렸음을 입증했다”며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조기 경보 시스템 등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3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38/srep4453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JGI) 프레데릭 슐츠 박사, 이태권 연세대 환경공학부 교수(당시 오스트리아 빈대 연구원)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생물처럼 단백질 번역 시스템을 갖춘 ‘클로스노이바이러스(Klosneuvirus)’를 발견해 4월 7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하수처리장에서 우연히 찾은 바이러스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혈액을 제거하도록 만드는 연구다. 가우데트 교수는 “재생 의학이나 생체의료기기 설계 등 각각의 응용 분야에 가장 적합한 식물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바이오 이종 장기’(2010.12)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012N010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년 05호
- 1000분의 1초) 이후의 온도가 그 정도다. 이런 온도에서는 핵을 구성하는 쿼크와 글루온 등이 핵에 속박되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상태가 된다. 이를 쿼크-글루온 플라스마 상태라고 하는데, 그런 걸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Q 2015년부터 거대강입자충돌기(LHC)의 에너지를 높여서 실험하고 있는데, ... ...
이전6526536546556566576586596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