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31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데이터 처리속도 2.7배로 쑥 끌어올린다
2015.11.24
발생하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했다. 정성인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SW기반기술연구본부 SW기초연구센터장팀은 연구용으로 많이 쓰이는 무상 운영체제 ‘리눅스’ 환경에서 최대 100개의 가상 코어를 인식하고 활용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무상으로 ... ...
[비교해봤습니다] IQ 가장 높은 로봇 청소기는 뭘까요
2015.11.24
로봇 청소기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 로봇 청소기의 지능지수는 LG
전자
제품이 73점, 삼성
전자
가 57점, 포어베르크가 43점, 아이로봇이 33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만점은 100점이지만 100점은 기술의 이론적인 한계치로 사실상 받기 어렵다. 이 교수는 “소비자가 선택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객관적인 ... ...
삼성
전자
연구원 KAIST 다니더니…
2015.11.23
두루 쓰일 것으로 보인다. KAIST 전기 및
전자
공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병현 삼성
전자
메모리사업부 책임연구원(38)은 KAIST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실리콘 기반 5단 수직 적층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반도체는 더 작고 성능이 좋은 제품을 만들기 ... ...
장미 줄기로 전기회로 만들었다
2015.11.22
있어 충분한 전류를 만들지 못한다. 베르그렌 교수팀은 이런 식물의 화학적인 특성을
전자
공학과 결합하는 연구를 계속해 왔다. 연구팀은 식물체 내에 전기가 더 잘 흐르도록 여러 전도성 고분자물질을 장미 줄기에 투입해 전기 도선을 만드는 시도를 하는 과정에서 ‘PEDOT-S’라는 ... ...
은하수 아니고요, 뇌 속이랍니다
2015.11.22
KBSI) 제공 ■ 민들레씨의 지구별여행 전도성 유기분자 자가조립체를 주사
전자
현미경(SEM)으로 촬영한 모습. 작가는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에서 촬영했다. 김한빛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과학이미징사진 공모전 대상 KBSI ... ...
이산화탄소, 빛으로 더 잘 분해한다
2015.11.18
광촉매보다 수명을 3배 넘게 늘릴 수 있었다. 또 각 성분 사이에 에너지 준위를 조절해
전자
가 광집광체에서 반도체, 환원촉매 순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만들었다. 이로 인해 이산화탄소-일산화탄소 전환 효율도 기본 촉매보다 10배 이상 끌어올렸다. 손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광촉매를 통해 ... ...
반경 1km 도달하는 신개념 와이파이 개발됐다
2015.11.13
노트북컴퓨터가 아니라 TV 같은 가정용
전자
기기나 공장자동화 기기 같은 각종
전자
부품을 하나로 엮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전송 속도는 2Mbps 정도로 흔히 스마트폰으로 영화를 볼 때 쓰는 ‘초고속 와이파이’보다는 느리지만 경쟁 기술로 꼽히는 ‘지그비’ 통신 기술보다는 8배 이상 빠르다. ... ...
‘고온초전도체’ 비밀 풀릴까… 美연구진, 새
전자
현상 관측
2015.11.09
‘이트륨 바륨 구리산화물’을 포항의 4세대 가속기를 이용해 촬영하고 3차원(3D) 형태의
전자
정렬모습을 관측했다. 기존에 2차원 평면형태(2D)만 알려진 '전하밀도파(charge density wave)'가 강한 자기장 하에서 3차원 입체형태(3D)로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연구팀은 초전도 현상이 ... ...
미래의 아이언맨 ‘철갑’ 벗고 ‘섬유’ 입는다
2015.11.06
주장한다. ● 옷장에 걸어 두는 ‘아이언맨 슈트’ 코너 월시 미국 하버드대
전자
과 교수팀은 최근 소프트 엑소슈트의 일종인 ‘하버드 엑소슈트’의 시제품을 개발하고 성능 실험을 진행 중이다. 하버드 엑소슈트는 몇 가지 부품만 제외하면 대부분 섬유로 만들어졌다. 섬유 내부에 들어 ... ...
걸그룹 브아걸 입에서 나온 말이 '힉스' '웜홀' '프랙탈'?
2015.11.06
해석하게 됐다. 양자역학에서는 측정하는 행위 자체가 측정 대상에 영향을 미쳐
전자
와 중성자 같은 미세한 입자의 위치와 속도를 동시에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불확정성의 원리’가 적용된다. 조 프로듀서는 “측정과 실재에 대해 고민하면서 대중과 이런 고민을 공유하고 ...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