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자기
디지털
디지탈
digital
전기
전자껍질
껍질
뉴스
"
전자
"(으)로 총 7,727건 검색되었습니다.
법대생이 프로그래밍도 척척… 대학에 부는 ‘융합’ 열풍
2015.11.27
학과는 성균관대 휴먼ICT융합학과. 같은 과 동기 대부분이 졸업과 동시에 삼성
전자
, LG
전자
, KT 등 국내 대기업에 취업했다. 최근 기업에 필요한 인재를 대학과 국책연구기관이 공동으로 육성하는 ‘창의산업융합 특성화 인재양성사업’이 인기를 얻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창조경재 구현의 ... ...
20배 빠른 5G 시대, 데이터 폭증 대비 완료
2015.11.26
5G 통신에 대응할 수 있는 대용량 이동통신 기지국 구축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은 아날로그 신호를 광섬유로 전송해 데이터트래픽을 대폭 늘리고 기지국 구축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4G 이동통신은 스마트폰 등 단말기에서 송출된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
2015.11.26
이뤄진 물질이다. 송 교수는 “촉매와 촉매 주변의 전기 전도도를 높이면 산소 원자가
전자
를 더 많이 받아서 산소 환원이 잘 일어나고 결과적으로 더 많은 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이동규 UNIST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로 촉매와 ... ...
부당해도 억울해도 탈출하기 어려운 ‘지옥의 실험실’ 실체
과학동아
l
2015.11.26
마련하자 옴부즈퍼슨은 연구실에서 일어나는 모든 갈등을 다룬다. 윤태웅 고려대 전기
전자
공학부 교수는 “교수에게도 도움이 되는 제도”라고 했다. “꼭 지도교수가 나빠서만 갈등이 생기는 것은 아닙니다. 많은 경우 소통방식의 차이, 성격과 가치관의 차이로 교수와 학생 사이에 갈등이 ... ...
출연연 공동연구 프로젝트 ‘미래선도 융합연구단’ 출범
2015.11.25
개발 등을 수행한다. ‘자가학습형 지식융합 슈퍼브레인 핵심기술 개발’ 과제는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이 주관한다. 필요한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최적화된 지식을 생성, 처리하는 지능형 정보통신 기술개발 개발이 목적이다. 다가올 사물인터넷 시대에 필요한 핵심기술로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 ...
KAIST 대학생이 학교에 3000만 원을 쾌척한 까닭
2015.11.25
주인공은 24일 강성모 KAIST 총장에게 해당 금액을 학교 발전기금을 전달한 전기 및
전자
공학부 4학년인 오승규 씨(27). 오 씨는 2010년 1인 기업 ‘오리지널’을 창업한 뒤 지하철용 스마트폰 앱 ‘지하철 내비게이션’을 선보였다. 이 앱은 출발역과 도착역만 지정하면 지하철 운행 시간을 확인해 ... ...
빅데이터 처리속도 2.7배로 쑥 끌어올린다
2015.11.24
발생하기 때문이다. 국내 연구진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성공했다. 정성인 한국
전자
통신연구원(ETRI) SW기반기술연구본부 SW기초연구센터장팀은 연구용으로 많이 쓰이는 무상 운영체제 ‘리눅스’ 환경에서 최대 100개의 가상 코어를 인식하고 활용하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무상으로 ... ...
[비교해봤습니다] IQ 가장 높은 로봇 청소기는 뭘까요
2015.11.24
로봇 청소기를 평가했다. 평가 결과 로봇 청소기의 지능지수는 LG
전자
제품이 73점, 삼성
전자
가 57점, 포어베르크가 43점, 아이로봇이 33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만점은 100점이지만 100점은 기술의 이론적인 한계치로 사실상 받기 어렵다. 이 교수는 “소비자가 선택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객관적인 ... ...
삼성
전자
연구원 KAIST 다니더니…
2015.11.23
두루 쓰일 것으로 보인다. KAIST 전기 및
전자
공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병현 삼성
전자
메모리사업부 책임연구원(38)은 KAIST 나노종합기술원 연구진과 공동으로 ‘실리콘 기반 5단 수직 적층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현재 반도체는 더 작고 성능이 좋은 제품을 만들기 ... ...
장미 줄기로 전기회로 만들었다
2015.11.22
있어 충분한 전류를 만들지 못한다. 베르그렌 교수팀은 이런 식물의 화학적인 특성을
전자
공학과 결합하는 연구를 계속해 왔다. 연구팀은 식물체 내에 전기가 더 잘 흐르도록 여러 전도성 고분자물질을 장미 줄기에 투입해 전기 도선을 만드는 시도를 하는 과정에서 ‘PEDOT-S’라는 ... ...
이전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