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속도와 궤도를 파악한다. 여기에다 *케플러법칙과 *활력방정식 같은 수학적 계산을 거친
뒤
에야 행성의 질량과 밀도를 알 수 있다.이런 수학적 방법을 이용해 지금까지 모두 2,326개의 외계 행성을 찾았다. 이 중 48개의 행성이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다고 여겨진다.*케플러법칙 : 행성의 운동에 대한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유명한 침몰 사건의 주인공인 타이타닉은 아직도 비극의 장소에 그대로 머문채 자신의
뒤
를 이은 거대 선박이 대양을 활보하는 모습을 조용히 지켜보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타이타닉에서 크루즈까지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Part2. 안전·환경·쾌적-크루즈, ... ...
DNA오리가미로 나노로봇 만든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하버드대 의대 조지 처치 교수팀은 육각형기둥 형태로 약간 변형한 나노박스를 만든
뒤
이 안에 나노 짐을 싣는데 성공했다고 과학저널 ‘사이언스’ 2월 17일자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짐이 달라붙을 수 있게 끝이 돌출된 스테이플 가닥 12개가 박스 내부에 놓이게 DNA오리가미를 설계했다. 그리고 ... ...
바다 이구아나, 새 신부를 유혹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핀치의 중요성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 여러 섬에서 나온 핀치의 표본들을 표시도 없이
뒤
섞어놓았을 정도다. 핀치가 진화의 생생한 증거라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비글호 항해에서 돌아온 다음이었다.다윈이 갈라파고스에 도착하고 그곳에 머문 6주 동안 불현듯 진화론을 떠올린 것은 아니다. 비글호 ... ...
요약본 공부법, 시험 성적 높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장(챕터) 전체와, 이를 5분의 1로 요약한 축약본을 실험자들에게 나눠주고 20분
뒤
와 1년
뒤
시험을 봤다. 결과는 어땠을까. 전문을 다 공부한 학생보다 요약본만 본 학생이 더 이해도도 높고 기억도 잘 했다. 정보량이 풍부하면 그만큼 성과도 높으리라고 생각했다면 인간 두뇌의 정보처리 능력을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음정으로 들린다는 겁니다. 반음의 진동비는 243:256입니다. 줄 길이 전체를 256으로 나눈
뒤
, 그 중 13개를 없앤 243에 해당하는 길이를 울리면 피타고라스의 두 음은 ‘도-도#’으로 들린답니다. 복잡하다고요? 좀 더 간단하게 알아봐요. 을 보면서 생각해 보세요.줄을 준비하세요. 간단한 악기를 ... ...
Part2. 최강 독 TOP 1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독이나 약은 소화관에서 흡수돼 문맥을 거쳐 간으로 들어가고 간에서 분해(해독)된
뒤
나머지는 혈액을 통해 각 장기나 기관으로 운반돼 독성을 나타낸다. 그런데 주사기를 이용해 직접 투여하면 소화액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간을 거치지도 않아서 투여된 물질이 화학적 변화없이 신속하게 ... ...
Part3. 독과 해독제의 뜨거운 전쟁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변하는 경우가 많다. 불행히도 수포작용제는 해독제가 없다. 이미 칼로 세포를 베어버린
뒤
라 잘린 세포를 다시 붙일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화상치료제인 플람마진 크림이 유일하다. 하지만 이 크림 역시 2차 감염방지를 위한 항생제일 뿐 치료효과는 거의 없다. 캐나다에서는 아르기닌이라는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거울 18개가 모여 지름 6.5m짜리 주 반사경을 이룬다. 접힌 채로 발사돼 우주에 올라간
뒤
에 펴진다.막 태어난 젊은 별이나 수명을 다하기 직전의 나이 든 별에서 많이 나오는 자외선 영역에서는 뚜렷한 후계자가 보이지 않는다. 자외선을 관측하는 주요 우주망원경으로는 허블우주망원경과 스위프트,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예민하게 하기 위한 구조라는 것. 연구자들은 말단의 신경 역할을 하는 촉각센서를 만든
뒤
하나는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로 감싸고 하나는 손가락 끝 피부처럼 미세한 요철이 있는 재질로 감쌌다. 그리고 유리 표면을 훑게 했을 때 전달되는 신호를 비교하자 요철이 있는 재질일 때 감도가 최대 10 ... ...
이전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