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도체 행성 3D 대공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끊임없이 도로 길이를 줄여왔다. 더 많은 전자가 흐르게 하기 위해서인데 자세한 것은 뒤에 설명하자. 그런데 도로 길이를 줄이고 줄이다 보니 부작용이 생겼다. 도로를 벗어난 전자들이 신호가 없는 상태에서도 도로를 건너가는 것이다. 워낙 도로가 짧아졌기 때문이다. 이를 누설 전류(Leakage Current ... ...
- 수학으로 우사인 볼트를 더 빨리 뛰게 만들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2년 05호
- 009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서 그의 반응 속도는 0.146초였다. 이는 결승전에 오른 선수들 중 뒤에서 세 번째 기록이다. 배로우 교수는 그가 반응 시간을 0.05초 줄이면, 기록을 9초53으로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둘째, 바람의 도움을 받는 것이다. 볼트는 9초58의 기록을 세웠을 당시 0.9m/s의 뒷바람을 ... ...
- 5화 속임수 천국 논리나라로!수학동아 l2012년 05호
- “윽, 비밀번호를 바꿨나 보네? 어디 보자….”문에는 숫자들이 써 있었다.“a, b를 구한 뒤 두 수를 숫자패드에 누르라고? 규칙 찾기네. 하아~, 이런 문제는 약한데….”사형 100% 확률, 속임수에 빠진 폴폴은 피타고라스의 점수를 맞히자마자 뮤클리드에게 소리쳤다.“뮤클리드! 문제를 맞혔으니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인플레이션이론에서 아무리 포도송이 다중우주를 이야기해도, 모두 ‘우주가 시작된 뒤’에 만들어졌다는 점은 동일하다.하지만 만약 이 ‘시작’점이 사실은 시작이 아니라면 어떨까. 빅뱅으로 우주가 태어나는 순간 이전에도 우주가 존재했다. 우주는 무슨 이유에서인지 빅뱅과 인플레이션을 ... ...
- 거대 곤충의 시대 - 공룡 피는 무슨 맛이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많이 아시니 다른 곤충의 예를 들어 볼까 합니다. 바로 하루살이입니다. 성충이 된 뒤 고작 하루 이틀만 산다는 보잘것없는 하루살이가 과거에는 거대한 곤충이었다는 게 믿어지시나요?석탄기에 살았던 보조플레비아 프로코피(Bojophlebia prokopi)는 요즘 하루살이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양날개를 편 ...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과학동아 l2012년 05호
-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오스트리코브 연방과학원 교수는 “플라스마는 세균이나 박테리아의 ...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초거대망원경에 수직과 수평으로 편광을 조절할 수 있는 간섭측정기를 설치했다. 그 뒤 180광년 떨어진 황새치자리 R별, 370광년 떨어진 사자자리 R별(사진), 375광년 떨어진 바다뱀자리 W별의 대기를 관찰해 편광을 분석했다. 비교를 위해 강한 항성풍이 없는 센타우루스 2별도 관측했다.분석 결과 ...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운동을 하지 않는 196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8개월 간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하게 한 뒤 내장지방 감소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유산소 운동을 한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내장지방 연소량이 평균 67%나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김창근 교수는 “적절한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면 복근 밖을 싸고 있는 ... ...
- 바이오 전자 현미경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다음, 합성해 3차원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CT는 환자가 장비 안에 들어간 뒤 장비안의 빔이 돌면서 사진을 찍지만, ET는 시료를 돌려가며 사진을 찍는다. 높이 14.5m에 무게가 자그마치 340t이나 나가는 HVEM의 거대한 전자빔을 돌리기란 어렵기 때문이다. 시료를 1~2도씩 돌려가며 사진을 ... ...
- 쏠라 포스! 해를 품은 에너지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에너지를 모아야 한다.건물 꼭대기에 태양전지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고, 건물의 앞, 뒤, 양옆까지 햇빛이 닿는 부분에는 모두 태양빛을 닿도록 하는 것이 좋다.연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이런 용도에 알맞은 태양전지다. 태양광을 잘 흡수하도록 고안한 염료를 얇은 유리막 사이에 발라 마치 식물의 ... ...
이전6476486496506516526536546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