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건"(으)로 총 7,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1300년 전 당나라 사람들은 오로라 봤다!2016.06.27
-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 ...
- 어느 날 걸려온 평판 조회 전화, 옆자리 동료에 대해 묻는 다면?2016.06.26
- 몇마디 말을 해본 적도 없는 사람이 무작위로 나의 평판조회를 요청받을 수도 있다. 건너건너 나에 대한 평판을 듣고 이야기해 줄 수도 있는 일이다. 우리는 평소 업무에서나 생활에서나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할 수밖에 없다. 꼭 이직 때문이 아니더라도 나에 대한 평판이 어떻게 이뤄질지 한번쯤 ... ...
- [WWDC16 ⑤] 애플이 웨어러블과 인공지능에 대응하는 방법2016.06.24
- 이 기기로 혈당 관리가 쉽지 않은 소아 당뇨 관리에서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건강은 결국 ‘즉시성’이 중요한데 애플워치의 업데이트는 이제 그 부분을 어느 정도 해결한 것으로 보입니다. 최호섭 제공 애플워치의 또 하나 재미있는 기능은 맥의 잠금을 푸는 것입니다. 키노트에서도 ... ...
- 하루 콜라 4리터 먹던 여자의 변신2016.06.23
- 체중을 빼야 하는 건 아니다. 자신에게 맞는 목표를 설정하고 즐겁게 몸을 돌보고 건강을 챙기라고 칼리 서로우는 조언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 ...
- “서울에서 규모 6.5 지진 발생하면 사상자 11만 명 발생”2016.06.23
-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령 규모 5.0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때 내진 설계를 하지 않은 건물은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지진을 체계적으로 관측하기 시작한 1978년부터 지난해까지 기록된 지진 1212건 중 규모 5.0이 넘는 지진은 총 6회 발생했다. 개인 한 명당 스마트폰은 1개씩 꼭 ... ...
- “아직도 내가 사람으로 보이니”과학동아 l2016.06.22
- pixabay 제공 미국의 한 대학 연구팀이 온라인 학습을 돕는 조교로 인공지능을 도입한 결과, 4개월간 누구도 이를 눈치채지 못했다고 미국 일간지 ‘월 스트리트 저 ... 않았다”며 “질 왓슨이 등록한 답변에서 개성을 찾아볼 수는 없었지만, 조교에게 원하는 건 정답뿐이었다”고 말했다 ... ...
- [WWDC16 ④] 애플 플랫폼의 미래를 이야기한 WWDC2016.06.21
- 시리, 애플워치 등 자그마한 플랫폼들을 정의할 때 이용자들은 각각의 기능을 두고 ‘이건 어디에서 본 것 같은데’라고 해석할 수밖에 없었지만, 플랫폼을 다루는 개발자 입장에서는 완전히 다르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메시지 이야기를 먼저 해볼까요? 그 동안 애플은 메시지에 꽤 공을 ...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2016.06.21
-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에는 한 주를 건강하게 보내는 심리학을 다룬 을 썼다. 시공사 제공 ※ 신작소개 과학동아와 dongascience.com의 인기 작가, ‘지뇽뇽’의 신작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가 출간됐습니다. 세상은 ‘나’를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서글프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 ...
- 꿀꺽한 건전지 찾아주는 미니 종이접기 로봇과학동아 l2016.06.20
- 펼쳐지고, 건전지를 자력으로 끌어당길 수 있도록 제작했다. 건전지와 붙은 로봇은 건전지를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이번 로봇은 지난해 러스 교수가 개발한 초소형 종이접기 로봇의 후속작으로 체내에서의 움직임이 향상됐다. 러스 교수는 “헬스 케어 전반에 적용할 예정”이라고 ... ...
이전6466476486496506516526536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