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건"(으)로 총 7,9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선천면역에서 프로바이오틱스까지2016.07.12
- 있을 것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 ...
- “피인용 지수(IF)로 연구자 평가, 불공정”2016.07.11
- PLOS ONE)’ 등도 마찬가지였다. 이 같은 괴리가 생긴 이유는 극히 일부 논문이 수백 건씩 인용되면서 평균값을 크게 높였기 때문이다. 임팩트 팩터 최상위 저널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해서 논문 자체의 인용횟수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편집자들은 “연구자를 평가할 땐 학술지가 ... ...
- 이 얼굴이 내 얼굴? 얼굴 부기 잡아주는 3 STEP동아사이언스 l2016.07.11
- 오래. 아침에 일어나 이건 진짜일 리 없다며 허벅지를 꼬집어봐도 소용 없다. 세계보건기구(WHO)의 나트륨 1일 권장 섭취량은 2000mg. 하지만 라면 1 개에는 약 1700mg 이상, 치킨 1 마리에는 약 2052mg 이상의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이 정도면 하루에 섭취해야 할 소금을 한번에 탈탈 ... ...
- [넷플릭스의 3대 경쟁력] ② ‘은교’를 본 사람에게 ‘슈렉’을 추천한다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6.07.09
- 커뮤니티도 있습니다. 그러나 특정 지역 관련 콘텐츠를 그 지역 사람들만 즐기는 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 독일어로 된 콘텐츠만 좋아하는 커뮤니티가 있는데, 이 중 독일 사람은 5%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또 남미 드라마를 중심으로 보는 커뮤니티도 있는데, 특이한 점은 이 커뮤니티 소속 이용자들은 ... ...
- 변기 위에서 신호만 받을 뿐 속이 불편한 당신!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동아사이언스 l2016.07.09
- 푸룬으로 내 몸만은 건강하고 활기차게 변비, 갱년기, 피부활력까지 모두 극복해보는 건 어떨까? ★ 변비에 대한 더 많은 관련기사를 보고 싶다면 아래를 클릭하세요! [동아사이언스] 변비, 제대로 알고 극복하자. [동아사이언스] 임부가 피해야 할 음식들, 정말 먹으면 안 될까? ... ...
- 브랜드와 상표를 지키는 방법 ③: 중국어 브랜드 명을 만들어야 할까?2016.07.08
- 되어서 익숙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STARBUCKS’건 ‘KFC’건 ‘McDonald’ 건 대다수의 프랜차이즈 브랜드, 그리고 언뜻 한국인이 보기에 발음하기 어렵지 않아 보이는 영문 브랜드들의 상당수가 현지화된 중문 브랜드를 가지고 있다. 왜 쉬운(?) 영문이름이 있는데도 굳이 토착화된 중문 ... ...
- 에버노트의 유료화는 왜 환영받지 못할까2016.07.06
- 에버노트는 더 강력해졌습니다. 그리고 이용자로서 그 부분에 단절이 생기는 건 꽤 큰 사건입니다. 에버노트의 유료 상품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플러스, 프리미엄, 그리고 비즈니스입니다. 이 서비스들의 차이점은 문서 검색이나 PDF 편집, 보안 등이 있긴 하지만 가장 큰 부분은 ‘용량’이었습니다. ... ...
- 전투는 다 이겼는데 전쟁을 졌다: 경험의 파편 vs 총체적 경험 2016.07.06
-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했음에도 고객에게 끼친 고통(painpoint)을 방지하지는 못했다. 이런 건 각 부서에 속한 직원의 개인적 인품과 업무 역량으로는 해결이 안 된다. 보다 훌륭한 서비스가 되려면 부서 간의 업무 관계가 내부적으로 정리되고 이것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스케줄을 고객에게 ... ...
- [과학을 보는 창, 저널] e라이프(eLife)과학동아 l2016.07.06
- 무료로 공개한다. 이른바 ‘오픈액세스(OpenAccess)’ 정책이다. 하지만 e라이프가 인정받은 건, 돈이 아닌 실력 덕분이다. 특히 합리적이고 투명한 논문 심사과정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저널에 논문을 투고하면 동료 과학자들로부터 내용 심사를 받는데(피어리뷰), 논문의 오류를 ... ...
- “목성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2016.07.06
- 목성 궤도에 진입한 경로는 너비가 10km 이내에 불과했다”며 “이걸 성공했다는 건 믿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감격했다. 현재 목성은 지구와 약 8억7000만 ㎞ 떨어져 있어 전파 신호가 도달하는 데 48분가량 걸린다. 이 때문에 주노는 목성 궤도에 진입할 때 NASA와의 통신 없이 내장 컴퓨터의 인공지능 ... ...
이전6436446456466476486496506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