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스페셜
"
세기
"(으)로 총 855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 컴퓨터를 활용한 아동 교육의 선구자 ‘시모어 페퍼트’
2016.12.26
된다고 한다. 이미 영어가 초등학교로 내려왔고 이제 코딩까지 배워야하니 21
세기
를 살아간다는 것은 아이들에게도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교육이 다 그렀듯이 어떻게 가르치냐에 따라서 코딩은 아이들에게 즐거운 놀이가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1960년대 중반 아직 컴퓨터가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책을 낼 수 있는 시대가 됐다(역서도 저작권이 소멸된 경우 법적문제가 없다). 19
세기
후반 선천성 면역의 한 유형인 식작용을 발견한 메치니코프는 1908년 ‘수명 연장’이라는 대중과학서를 출판했다. 여기서 그는 면역세포의 잘못된 식작용이 노화를 일으킨다고 주장했다. - 아마존 제공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
2016.11.14
근시 역시 비만이나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지구촌에서 환자 수가 급격히 늘고 있는 21
세기
‘역병’이다. 특히 동아시아가 심한데 요즘 젊은이는 10대를 거치며 70~80%가 근시가 된다. 근시는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근시유전자도 발견됐다) 환경요인의 영향력이 훨씬 크다. 과거에는 잘못된 독서 자세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
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사라진 이유는 역사학계에서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그린란드에는 10
세기
후반부터 11
세기
까지 노르웨이의 바이킹 5000여 명이 건너가 터전을 잡고 번영을 누렸다. 그린란드는 현재 땅의 85% 이상이 얼음으로 뒤덮여있고 평균온도가 영하로 내려가지만, 1000년 전만 해도 지금보다 따뜻해 풀과 나무가 ... ...
세계 최고 출력 4PW(페타와트) 레이저 개발에 일조하다
IBS
l
2016.10.31
PW 레이저를 렌즈를 이용해 지름 2μm(마이크로미터, 10-6m)로 집속하여 얻을 수 있는 빛의
세기
는 태양빛을 지구만 한 크기의 렌즈를 이용해, 0.5mm 샤프심보다 35배 작은 15μm 안에 모은 것과 맞먹는다는 게 유 연구위원의 설명이다. 유 연구위원은 이처럼 높은 출력은 레이저의 에너지가 아주 짧은 시간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2016.10.18
인류의 삶에 도움을 주기에는 너무 동떨어진 학문이라고 생각한 결과일까. 아니면 19
세기
에는 생물학의 위상이 낮았기 때문일까. 아무튼 이름이야 어찌되었건 생리의학상은 의학이 강조된 생물학상이라고 봐도 별 무리는 없다. 다만 예외가 있는데 바로 식물학 분야다. 아무리 위대한 발견이라도 ... ...
바이오부탄올 100년 만에 빛 보나
2016.10.10
이스라엘 와이즈만연구소라고 부르는 바이츠만과학연구소는 그의 이름을 딴 것이다. 21
세기
들어 석유고갈과 환경문제로 친환경 바이오연료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연구자들은 대사공학기술을 써서 미생물이 먹이(feedstock)를 연료로 바꾸는 효율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
고산증 극복하고 말라리아에도 저항… 환경적응 유전자 ‘총정리’
동아사이언스
l
2016.10.09
단계로 이동하는 동안 뇌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아직 밝혀진 바가 거의 없다. 20
세기
연구자들은 잠을 매우 수동적인 상태로 여겼다. 정신과 육체활동이 멈추고 감각이 줄어들면 자연히 잠에 빠져드는 것으로 여겼지, 특별한 화학작용이 뇌에서 일어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 ...
기초과학부터 신산업 창출까지 현대과학의 '팔방미인' 가속기
IBS
l
2016.10.04
충돌시킨다. 이때 발생하는 빛으로 화면을 만들어 낸 것이 바로 브라운관이다. 20
세기
초부터 개발…종류·활용 분야도 다양 강대국은 20
세기
초부터 가속기를 개발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물리학자 어니스트 로렌스가 1925년 원형으로 입자를 가속하는 최초의 '사이클로트론(고주파의 전원과 ... ...
화를 내면 화가 풀릴까?
2016.09.20
헤드폰을 통해 귀가 얼얼할 소음을 들려주어 벌을 주는 것이었다. 참가자들은 소음의
세기
와 지속시간을 직접 조작할 수 있었고 연구자들은 이를 참가자들의 공격성을 보여주는 척도로 삼았다. 이와 같은 실험을 다섯차례 한 끝에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화를 분출하는 것이 화를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