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기"(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있다가 새나 개미가 공격하면 뿜어낸다. 왕나비 애벌레의 먹이식물인 박주가리는 잎이나 줄기를 자르면 하얀 즙(밀크위드)이 나오는데, 이것의 주성분은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독성 물질(디키탈리스)로 웬만한 곤충은 입에도 대지 못한다. 하지만 왕나비 애벌레만은 예외다. 밀크위드의 독을 직접 ... ...
- 지오의 나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지오가 걸음을 멈추고 공주의 편지를 달빛에 비춰 볼 때였다. 갑자기 서늘한 바람 한 줄기가 불어왔다. 화르르 흩어지며 날리는 나뭇잎들…. 순간 나뭇가지들이 바람에 몸을 누이며 앞이 트였다. 그 사이로 하얗게 모습을 드러낸 무엇! 연월기였다.연월기의 모습은 처참했다. 뚜껑과 쇠침이 제각각 ...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최근에는 바이러스 대신 단백질을 사용해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연구가 지금보다 발전하면 앞으로 더욱 놀라운 반전이 많이 일어나겠죠?"김정범(울산과학기술대학교 나노생명화학공학부 교수)반전 ❸비소 미생물이 외계생명체의 단서라고?헉! 커다란 장애물에 ...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모습을 감상해 보자.✽나머지 작품은 http://eros.usgs.gov/imagegallery/에서 볼 수 있다. [한 줄기 붉은 빛 커다란 붓에 붉은색 물감을 묻혀 대담하게 한 획 그은 듯하다. 실제로는 구름과 빛의 합작품이다. 캐나다 록키 산맥의 좁은 계곡에 낮게 깔린 구름이 비스듬히 들어오는 햇빛을 반사시켜 이런 색을 ...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유럽 전역과 멀리 시베리아 남부에까지 퍼져서 잘 살던 우리는 3만 년 전부터 급격히 줄기 시작해 2만 6000년쯤에는 거의 멸종했어요. 이곳 이베리아 반도 끝 지브롤터에만 2만 4000년 정도까지 아주 일부가 살아남았지요. 바로 우리요….전반적인 환경 변화가 우리의 멸종 원인이라는 게 학자들의 ...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 미세교세포(마이크로글리아)가 그들이다. 돌기교세포는 뇌 속 뉴런에서 뻗어 나온 긴 줄기인 축색돌기를 꽉 잡고 있다. 축색돌기가 망가질까봐 다시 150겹으로 꽉꽉 싸맸다. 이 부분을 ‘미엘린(myeline)’이라고 한다.미엘린은 절연체 기능을 한다. 축색돌기는 미엘린으로 둘러싸여 있어 뉴런이 ... ...
- 과학이 맺어준 커플과학동아 l2011년 03호
- 자원이 난다는 단서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꽃이 핀 뒤에는 과일이나 견과, 덩이줄기 같은 음식물이 나기 때문에 여자가 꽃을 좋아하게끔 진화했다는 설명이다.만남에서 고백까지. 과학이 도와준다면 지금 연락을 주고받는 그 사람과 커플이 될 수 있다. 이제 한 달 뒤에 활짝 필 서울 여의도 ... ...
- 루팡도 깜짝 놀란 별난 과학 은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등으로 분석하여 증명한 뒤, 등록 번호를 주고 냉동 보관한다. 그 뒤 원하는 연구자에게 줄기세포를 보내 준다. 이리하여 결국 난 아무것도 훔치지 못했어. 그런데 세상에 이렇게 멋진 과학 은행이 많다는 걸 예전엔 미처 몰랐지 뭐야. 돈을 맡기는 은행뿐 아니라 사람의 생명을 구하고, 치료하고, ...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하는데, 30~40km 이상으로 올라가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높이가 높아질수록 공기 저항이 줄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크램제트 엔진은 산소로 연료를 태우기 때문에 공기가 희박한 성층권 이상 높이에서는 날 수 없다.박철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극초음속(hypersonic, 마하 4 이상) 비행기가 탄생하면 ...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과학동아 l2011년 03호
- 틀에 넣은 세포를 바이오리액터에 넣고 키우면 근육줄기세포가 분화해 근육이 된다. [줄기세포를 이용해 고기를 만드는 연구를 진행 중인 블라디미르 미로노프 교수.][앞으로 우리는 훨씬 더 다양한 단백질 공급원을 갖추게 될 것이다.] [세포를 배양해 고기를 만들면 좁은 공간에 가둬 놓고 소를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