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대
줄거리
요점
개요
개략
스토리
d라이브러리
"
줄기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고기 요리를 먹게 되었다. 또한 섬유질이 많아 날로 먹기 힘들었던 식물 뿌리나 덩이
줄기
등도 불로 익혀 쉽게 씹을 수 있게 되었다. 요리가 인류에게 영양분이 많은 음식을 쉽게 먹을 수 있게 해 준 것이다.*고 호모사피엔스 : 50~30만 년 전에 살았던 전 현생인류 ❷ 큰 체격에 S라인 몸매과학자들은 ... ...
드라마 뿌리깊은나무 수학으로 다시보기!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중국에서 처음 시작됐다. 일찍이 중국 하나라의 우임금이 홍수를 다스리려고 황허강
줄기
인 낙수의 물길을 고치다가 발견한 거북 등껍질의 그림에서 유래됐다고 전해진다.아버지가 보내온 빈 도시락세종은 아버지의 해법에 결코 찬성할 수 없었다. 그는 아버지와는 다른 새로운 조선을 꿈꾸고 ... ...
땅 속 희유금속, 식물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더 탐사하고 개발해야 합니다. 해외 희유금속은 물론이고요.”[식물을 채취해 잎,
줄기
, 뿌리에 들어있는 성분을 분석하면 유용광물이 모여있는 지역을 찾을 수 있다.]식물로 희유금속 찾고, 중금속도 찾고응용지구화학연구실에서는 희유금속 탐사에 식물을 이용한다.“지표에 희유금속을 함유한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11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중성미자 논란5. 중국 세계 3번째 무인우주선 도킹[국내]1. 과학벨트 거점지구 확정2. 구제역 창궐3.
줄기
세포 치료제 세계 최초 개발4. 거대블랙홀의 별 포식 장면 관측5. 이종 장기 이식 ... ...
낙엽의 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야생형의 식물에서는 잎의 탈리과정이 진행돼 며칠 만에 잎이 거의 다 떨어져 앙상한
줄기
만 남았다. 그러나 에틸렌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변이체 자작나무는 잎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프랑스의 시인 레미 드 구르몽의 시처럼 ‘낙엽은 버림받고 땅 위에 흩어져 있다’고 볼수도 있다. 그러나 자연은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늦은 밤까지 랜턴을 이용하거나 헤드램프를 쓰고 찾는다. 밤에는 식물의 갈라진 틈, 나무
줄기
의 가지에 숨어 있는 애벌레를 발견하기가 쉽다. 경계심을 풀고 가지나 잎맥 위에서 열심히 잎을 먹고 있는 애벌레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애벌레를 살펴보기에 하루 중 밤이 좋지만 계절적으로는 봄이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다양한현상을 속 시원하게 풀어줬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자론은 현대물리학의 또 다른
줄기
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비해 인기가 없다. 손에 잡히지도 않고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원자세계를 다루기 때문이다. 게다가 들어도 무슨 말인지 도통 이해할 수 없을 것 같다. 오죽했으면 미국의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조절되고 노즐과 지면의 각도로 분수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것이 조화를 이루면 물
줄기
들은 아름다운 포물선을 그리며 사람들에게 시원함과 황홀함을 선사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 주변에 숨 쉬고 있는 포물선을 찾아보는 건 어떨까 ... ...
줄기
세포 만드는 스위치 찾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뒤에도 계속 자라 종양이나 암을 일으킬 수 있다. 블렌코 교수팀은 “FOXP1을 조작하면
줄기
세포를 일반세포로 쉽게 바꿀 수 있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연구 결과는 학술지 ‘셀’ 9월 15일자에 실렸다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나뭇잎들을 관찰하면 주변에서 얼쩡거리는 애벌레들을 발견할 수 있다. 잎 뒷면이나
줄기
또는 땅 밑의 돌 틈도 애벌레를 발견할 수 있는 좋은 장소다.애벌레의 존재는 식물을 먹은 흔적(식흔)뿐만 아니라 주변에 떨어진 배설물을 보고 찾을 수 있다. 물기 있는 촉촉한 똥은 100%다. 산누에나방과,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