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때때로 원래부터 자신은 제이크가 아니라 아바타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할 정도로요.사실 SF영화는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기술이 세상의 모습을 어떻게 바꿀지 미리 보여주는 역할을 해요. 그렇다면 영화 의 제이크처럼 훗날 우리도 다른 생명체나 물건과 원격으로 연결될 수 있을까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화학변화를 일으켜 색과 향, 맛이 모두 변합니다. 그래서 요리는 과학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지요. 1988년 프랑스의 화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의 물리학자 니콜라스 쿠리티는 요리의 이런 과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며 ‘분자 물리 요리학’이라는 명칭을 만듭니다. 이후 좀 더 쉽게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1)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눈 초 가의 몸길이는 140cm 정도로 생후 30~35일 정도에 죽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140cm 정도면 가정용 대형냉장고에도 거뜬히 들어갈 크기입니다. 냉장고에 코끼리 넣기, 생각보다 쉽겠는걸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퀘스터, 미션 깨는 가상 실험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이 대표는 과학고에서는 실험이나 실습 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일반고에서도 어느 정도는 그런 환경이 마련돼 있을 거라 생각했지만 실제론 “괴리가 컸다”고 한다. 특히 한 일반고의 과학 실험실은 현미경이 굉장히 많이 구비돼 있었지만 제대로 작동하는 건 두 개밖에 없었다. 고장 난 채로 ... ...
-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초고층빌딩의 걸림돌 ‘바람’을 극복하라!더 라인은 사막의 만리장성이라고 불릴 정도로 어마어마한 위용을 자랑합니다. 과연 8년 만에 이런 빌딩을 완성할 수 있을까요? 전문가들은 건축 기술과 컴퓨터 설계 기술, 시멘트 기술 등의 발달로 500m 높이의 초고층빌딩을 짓는 것이 기술적으로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서울과학고 수석 졸업생의 수학 공부법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이해했어요. Q. 문제가 안 풀릴 때는요? 내리 5시간은 아니지만, 그날 하루 동안 5시간 정도 고민해서 푼 문제가 있어요. 이렇게 어려운 문제를 풀 때는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기도 하고, 손으로 문제를 적기도 하면서 문제 해결 아이디어를 떠올려요. 책상에 가만히 앉아서 계속 생각하는 게 쉽지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3 2 1!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특정 소리의 주파수가 노트북의 하드디스크와 공명을 일으킨 결과, 노트북이 고장이 날 정도로 하드디스크가 진동했던 거죠. 첸은 “해당 노래를 구형 컴퓨터로 재생하자 노래를 재생하던 노트북은 물론, 근처에 있던 다른 구형 노트북들도 손상됐다”고 말했어요. 이런 이유로 자넷 잭슨의 Rhythm ... ...
- [Speacial Interview] "다음 또 다음 세대가 사용하는 수학 아이디어를 만들고 싶어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선생님 설명이 논리적으로 틀린 것 같으면 손을 들고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말할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정답이 명확하고 현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물리와 수학을 좋아해서 복수전공을 시작했어요. 그런데 대학에서 역학 수업을 듣는데 오차(측정값과 참값의 차이)를 무시하고 계산하는 ... ...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0.2㎚~0.35㎚(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 수준입니다. 신문지 한 장의 두께는 약 10만㎚ 정도 됩니다. 하지만 신문지를 두고 나노 소재 혹은 나노 물질이라 하지는 않습니다. 나노 소재가 되려면 길이 혹은 크기가 100㎚보다 작거나 얇아야 합니다. 100㎚보다 큰 물질은 나노가 아닌 ‘벌크’라고 부르죠. ... ...
-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95%의 물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위 면적당 생산성이 매우 높아 초등학교 과학실 정도의 넓이에서 연간 450만 개의 인공 씨감자 생산이 가능한 것은 물론, 상추를 12단으로 재배하면 땅에서 키울 때보다 60배 이상 수확량이 늘어납니다. 게다가 농약을 뿌리지 않아도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 ...
이전6061626364656667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