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어린이과학동아
"
큰
"(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 숨쉬는 녹색의 도시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유지되어야 한다. 1947년 영국 런던에서 처음 시작된 그린벨트 제도는 우리나라에서도 30년 전부터 시행되어 도시 주변의 환경 보호에
큰
공헌을 했다. "한국에는 불과 몇 년 사이에 새로 생겨난 도시들이 많지요. 서울 같은 도시는 인구 천만명이 넘는 거대한 도시구요. 이탈리아에서 그런 도시의 모습은 상상할 수도 없습니다. 도시가 거대해질수록 환 ...
다무리아 마을에 나타난 악당 '무라카와 쓰지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31
장치를 해 두었다. 물을 다시 쓰고 싶으면 문제를 해결하라.” 첫 번째 문제는 거대한 자물쇠였다. 마을로 들어오는 상수도의 가장
큰
수도관에 특수자물쇠가 잠겨 있었다. 주변에 숫자가 적혀 있고 숫자 사이에는 사칙연산(+, -, ×, ÷)이 적힌 다이얼이 있었다. 숫자를 계산한 결과가 자물쇠 몸에 적혀 있는 커다란 수가 되도록 사칙연산 다이얼을 ...
‘신나는 로봇여행’ 전시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상상해 보아요. 전시장 바깥에서는 로봇 카를 직접 몰 수도 있답니다. 로봇의 역사나 일본 만화영화에 나온 로봇의 키를 비교한
큰
그림도 많아요. 이번 놀토는 로봇 친구들을 만나 볼래? ◎ 문의 : 1544-0726 www.iadelphos.co.kr ◎ 장소 : 서울 능동 어린이대공원 ... ...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 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재야 할까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우주에서도 질량을 잴 수 있는‘우주 저울’을 개발했답니다. 같은 힘을 주었을 때 질량이
큰
물체일수록 속도가 변하는 정도가 작다는 뉴턴의 법칙을 이용해 만든 저울이에요. 만일 제가 우주에 간다면 우주 저울이 제대로 작동하는지‘어린이과학동아’독자들에게가장먼저알려줄게요. ② 우주공간에서는 촛불 모양도 땅 위와 ...
똥의 향기에 취하다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돌렸다. 똥과 화해하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한 걸까?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더디게 하고 포만감을 느끼게 한다. 또
큰
창자를 운동시켜 똥이 잘 나오게 한다. 오~! 제발 똥 나오게 해 주세요! 벌써 일주일째 화장실에 가지 못했다. 변기에 오래 앉아 있어도 봤지만 똥은 쉽게 나오지 않는다. 속이 더부룩하다. 얼굴색이 노랗게 변하고 피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28
같은 생물체에서도 부위에 따라 변한다. 세포의 크기는 매우 작아서 현미경으로 볼수있을 정도지만 우리가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큰
세포도 있다. 달걀이나 타조알, 개구리알 같은모든 알은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진 단세포다. 정자나 난자도 하나의 세포로 되어 있다. 이들 단세포는 세포분열을 거치며 점점 수가 늘어난다. 다세포 소녀? 단세포 아메바! 아예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4
여러 가지 편리한 도구를 만들면서 비약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문명이 발달하게 됩니다. 금속을 사용하게 되면서 생긴 가장
큰
변화는 무기의 발전이었습니다. 돌보다 훨씬 단단하고 날카로운 금속으로 만든 칼과 창의 위력은 대단했습니다. 금속을 다루는 ‘제련술과 야금술이 발달한 나라는 금속 무기의 힘을 바탕으로 정복 전쟁을 시작합니다. 무거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4
하지만 꿋꿋이 외세의 침략을 물리쳐 내고 현재의 평화를 누리고 있습니다. 애국심과 단결력이 가장
큰
힘이었지만 우수한 무기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고구려의 단단한 철제무기, 고려의 빠르고 튼튼한 전함, 조선의 거북선과 화포, 신기전 등은 당시 세계의 어떤 무기보다 우수한 무기였습니다. 과거 뿐 아니라 현재도 우리나라의 무기는 뛰어 ...
우주의 메신저 ‘인공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3
큰
그림 보러가기 ...
고려청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3
가을 하늘을 집안에 들이다 어느덧 하늘이 높고 푸른 가을이에요. 가을하면 떠오르는 빛깔이 무엇인가요? 노랗고 빨간 단풍빛도 떠오르지만 뭐니뭐니해도 시원한 하늘빛이지요. 우리 조상들은 이 하늘빛을 가을에만 보기 아쉬웠는지 사시사철 언제나 볼 수 있도록 고려청자를 만 ... 0년의 세월이 지나도 그 아름다운 빛깔을 유지하고 있는 고려청자. 가을하늘을 도자기에 ...
이전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6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