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영
번성
번창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섬유를 이용한 근거리 통신망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금성전기는 최근 광섬유를 이용한 토큰링방식의 근거리통신망(OPTO-RING LAN)개발에 성공했다.금성전기 기술진이 지난 84년부터 1억원의 연구개발비를 투입, 한국과학기술원 은종관박사팀과 공동개발에 성공한 OPTO-RING LAN은 광섬유 LAN으로서는 국내 최초로 개발된 시스템.이 근거리통신망은 사무자동 ... ...
핵은 격렬한 분화구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소련의 베가 1호가 사상 처음으로 지구에 사진을 보냈고 지오토는 가장 핼리핵에 가까이 접근, 촬영에 성공했다.6백70km까지 접근유럽우주기구(ESA)에서 쏘아올린 헬리탐사위성 '지오토'는 3월14일 오전 9시3분경(한국시간) 핼리핵6백70km까지 접근, 핵의 근접촬영에 성공하였다. 핼리핵에서 방출되는 먼 ... ...
산업 현장의 레이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레이저는 높은 에너지 집속력을 갖는 고유한 출력특성과 여러가지 광학적 특성 때문에 개발초기부터 산업에 폭넓게 응용되고 있다. 재료가공 분야에 있어서 그 이용은 70년대에 들어와 CO₂레이저와 YAG 레이저 같이 출력이 안정된 레이저가 등장함에 따라 급속한 속도로 보급이 진행 되고 있다.산업 ... ...
올림픽전산화 서울올림픽 컴퓨터로 치른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올림픽전산화의 의의는 크다. 단순히 올림픽에 과학기술을 적용하는데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개최국의 향후 산업의 방향을 결정짓는다.1988년 9월25일, 대회 9일째를 맞은 서울 올림픽은 종반을 향해 치닫고 있다. 메달경쟁이 치열, 각국 임원들 간에는 삑삑이를 사용 전자사서함을 통해 작전지시에 ... ...
레이저를 이용한 신무기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1975년 미국의 정찰용 첩보위성 2대가 시베리아 상공에서 파괴되었다. 원인은 소련이 발사한 강력한 레이저 광선이라는 사실이밝혀졌다.이처럼 공상소설에서나 볼 수 있었던 레이저 무기가 현실로 등장함에 따라 군사전략과 전술은 상당한 변화를 겪고 있다.레이저 병기의 강점은 뛰어난 정확도를 ... ...
피부세포의 증식에 성공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영국의 버밍험사고 병원에서는 최근 70%의 심한화상을 입고 여섯달동안 입원한 여자환자를 실험실에서 배양한 피부로 치료해 완치시켰다.전 세계에서 피부배양을 하는곳은 서너군데밖에 없는데 이번에 가장 획기적인 성공을 한셈이다. 이 병원은 40여년전에 세워져 그동안 피부연구에 힘써왔는데 ... ...
한국 과학출판의 수준과 문제점을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과학출판의 질과 양은 그 나라 과학발전의 척도라는 말이 있다. 과연 미국, 소련, 일본 등에서 쏟아져 나오는 엄청난 과학잡지 및 단행본은 그 나라들이 과학선진국임을 과시하고 있다. 한국의 과학수준은 꽤 높다고들 말하고 있으나 빈약하기 짝이 없는 과학출판물을 보면 별 것이 아님을 확인하게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언젠가는 외계문명체가 발견될 것이다. 외계문명이 없다는 가정은 밀밭에 밀이 하나만 자라고 있다는 것과 같은 것이다.우주 어느 곳에 우리 인간과 같이 고등 문명을 가진 생명체가 존재 할 것인가? 만일 존재한다면 그들도 우리와 같이 하늘을 올려다 보며 '다른 문명체가 있을 것인가'하고 생각 ... ...
고기도 맛 좋은 젖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일본 농수산성 혹카이도 히다카 종축장에서 젖소와 비육우의 혼혈종인 소의 수정란에서 송아지를 낳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 송아지의 모계(母系)는 젖소 홀스타인, 부계는 일본의 갈색 비육우. 홀스타인의 난자에 비육우의 정자를 인공수정시켜 몸밖으로 끄집어낸후 그 수정란을 둘로 나눈다. 이 ... ...
한국의 여성과학자들 기지개 켜고 일어서는 중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짧은 근대과학의 역사속에서 불모지로 남아있던 여성과학계가 기지개를 켜고 있다. 뿌리 깊은 편견을 딪고 일어서는 여성과학자들.세계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여성과학자는 누구일까? 천문우주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최초의 여성우주인인 소련의 '발렌티나 테렉코바'를 들겠지만 역시 우리에게 ... ...
이전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