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갔다 돌아올 '판타스틱 씨앗'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밝혔다.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돌연변이는 대를 거듭할수록 많이 나타난다는
점
을 고려할 때 우주 씨앗의 2세가 탄생하는 2008년에 더 많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집에서 우주 씨앗 길러볼까 2008년 4월 8일 ISS를 방문하는 한국 최초 우주인도 우주육종 실험을 할 예정이다. ... ...
차세대 초대형 여객기 A380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전자의 움직임이 없음을 의미하며 어느 한
점
에 고정돼 있는 것과 같다 이 구조를 양자
점
구조라고 한다 전자의 움직임이 모든 방향으로 구속돼 있으므로 전자의 에너지는 모든 방향으로 양자화돼 특정한 에너지값만 가져야 한다열대 태평양에 위치한 워커 순환은 인도네시아 부근에서는 저압부를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작품을 꺼내 먼지를 털고 책상 위에 가지런히 놓았다. 그리고 한
점
한
점
작품의 장
점
과 특징을 수첩에 적어나갔다. 눈으로 보고 감탄만 하던 것보다도 래빗의 작품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작품평만 따로 모아 책으로 내고 싶었다. 래빗의 빛나는 재능에 합당한 단어나 문장이 ... ...
파리, 모기 요건 몰랐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앵앵앵~, 왱왱왱~. 아름답게 날고 있는데 어디선가 날아오는 거대한 파리채! 왜 우리만 보면 죽이지 못해 안달이니? 우리가 귀찮고 더럽고 간지럽다고? 그래. 우리 파 ... 제발 주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자연적인 방법을 써 줘. 또 우리도 생태계에 꼭 필요한 구성원이라는
점
잊지 말아 줘 ... ...
철새의 눈은 자기장을 본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경로는 인간이 시각 정보를 인식하는 경로와 일치한다”며 “철새에게 북쪽은 까만
점
과 같은 형태로 보일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한편 영국 옥스퍼드대 리드보겔 교수는 “철새가 자기장을 본다고 주장하려면 신경 추적물질을 사용하는 간접적인 방법이 아니라 실제 새가 방향을 감지할 때 시상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만큼 모양이나 크기가 비슷한데다 약 220만 광년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이웃은하라는
점
도 중요한 이유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의 지름이 각각 10만 광년과 16만 광년이라는 사실을 고려해 은하를 지름이 2cm인 동전에 비유하면 동전 2개가 44cm 떨어져 있는 상황에 견줄 수 있다.하지만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T선은 암세포와 건강한 세포를 잘 구분해서 보여 준다.T선의 장
점
은 X선보다 안전하다는
점
이다. X선은 에너지가 높아서 몸에 해롭다. 그래서 자주 찍을 수 없다. 그러나 T선은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몸에 해롭지 않다. 암을 찾아 내는 착한 빛인 셈이다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먼저 부리와 사람 같은 손이 떠오른다. 작가는 도널드 덕을 표현할 때 넓적한 부리에 중
점
을 뒀다. 위로 말려 올라간 부리를 세심하게 표현했다.또 이형구 작가는 상상력을 발휘해 오리 날개 대신 사람 팔을 붙였다. 조류는 원래 종아리뼈가 1개다. 포유류는 뼈 2개가 붙어있다. 그런데 도널드 덕의 ... ...
현미경 속 열대어, 찹쌀 도넛, 네잎 클로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총 243개 작품이 경쟁했다. 그 가운데 대상 1개 작품을 포함한 본상 수상작 19
점
과 입선작 48
점
이 선정됐다. 주최측은 “지난해보다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이 늘었고 작품 수준도 훨씬 높아졌다”고 평가했다. 당선작은 홈페이지(biomicro.bkidc.or.kr)에서도 볼 수 있다.연화화생 대상 | 박영일·엔피씨(NPC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동경 135°선이다. 이 선은 울릉도 동쪽 350km 위치를 남북으로 지나 한반도의 어떤 지
점
에도 닿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시간의 경도 기준이 한반도에 있지 않은 것이다. 북경과의 시차를 42분으로 정해 쓰던 조선시대 사람들이 오히려 한반도의 경도에 맞는 시간을 사용했다고 할 수 있다. ... ...
이전
637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