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피서 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5호
불에 타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열에 잘 견디는 특수 우주복을 입어야 해. 눈앞에서
점점
커지는 지구의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엄청나게 짜릿할 거야. 그럼 난 이만 여기서 작별해야겠어. 여러분 모두 여름을 즐겁게 보내기 바랄게. 미래에 가족들과 피서를 떠나게 되면 꼭 우리 여행사를 찾아 줘. ... ...
둘째보다 똑똑한 맏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4호
연구한 결과를 보면 맏아들의 지능지수가 둘째 아들보다 더 높다고 해요. 평균 2.3
점
이 더 높대요. 둘째는 셋째보다 1.1
점
더 높다고 해요.실제로는 맏아들로 태어난 것보다 맏아들로 길러진 것이 더 중요하대요. 출생 순서와 상관없이 맏아들로 대접받으며 자란 아들이 다른 형제보다 지능지수가 ... ...
‘티라노만 한 닭?’ 거대한 거대한 깃털공룡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1.4톤이죠. 이 공룡의 가장 큰 특징은 새처럼 부리와 가느다란 다리, 깃털을 갖고 있다는
점
이에요. 즉 공룡이면서 새를 닮은 거죠.과학자들은 새가 공룡에서 진화됐다고 말해요. 깃털공룡의 화석이 발견되면서 이런 주장은 더욱 힘을 얻고 있죠. 다만 공룡이 새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몸집이 ... ...
풍덩~ 바다목장에 놀러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3호
곳은 없는지 말이죠. 물고기 집도 마찬가지예요. 바다 속에 넣은 인공어초가 적당한 지
점
에 잘 쌓여 있는지, 혹시라도 땅이 꺼지거나 물살에 휩쓸려 없어지진 않았는지 봐야 한다구요. 수온이 높아지거나 태풍이 와서 살기 힘들진 않은지도 살펴야 해요.바다목장의 침입자들!중간 육성장에는 ... ...
크리스마스 밤하늘 장식하는 '전구별'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변광성이라는 사실을 확인해줬다.흥미로운 사실은 리빗 역시 청각장애인이었다는
점
이다. 태어나면서부터 들을 수 없었던 그는 하버드대의 천문대에서 일을 시작했다. 당시만 해도 여성 천문학자는 매우 드물었고 대우도 시원찮았다. 망원경을 만지는 일이 허용되지 않았고 대신 천체를 찍은 ... ...
아침에 기분좋게 깨워주는 친구 닥터라이트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어나는 아침을 만드는 것은 어떨까.과학동아몰(http://www.scimall.co.kr/)은 닥터라이트를 독
점
판매하고 있습니다.판매 오픈 기념으로 무료 증정 이벤트를 하고 있으며, 북라이트, 태양광 자동차 등 빛을 이용한 과학상품도 만나 볼 수 있습니다.닥터라이트크기 : 30cm(높이)x5.5cm(받침 지름)x10cm(본체 폭 ... ...
똥꼬가 간질간질, 기생충이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혀의 역할을 한단다. 먹이를 물거나 삼킬 때 내가 도움을 주는 거지. 또 한 가지 특이한
점
이 있는데‘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에게만 알려 줄게. 혀처럼 보이는 나는 암컷이고 물고기의 입천장에는 내 남편인 수컷이 붙어 있어. 평생 둘이 이렇게 등을 맞대고 입안에서 알도 낳으며 오순도순 산단다. ... ...
모유와 찰떡궁합인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유전자 중 대립형질 C형을 하나 이상 가진 아이들이 모유를 먹었을 때 평균 지능지수가 7
점
높았다. 이에 비해 대립형질 GG형 FADS2 유전자를 가진 아이들은 모유를 먹었어도 지능지수에 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이 경우는 전체 어린이의 10%에 불과했다. 모피트 박사는 “특정 유전자가 모유 수유 ... ...
소음 잡은 블루투스 헤드셋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재료로 해서 만들어지는 배추김치의 오묘한 맛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바로 환원론의 맹
점
이다무성생식에 의해 한 개체에서 만들어진 유전적으로 동일한 생물체의 집단을 클론이라고 한다 옛날부터 원예에서 많이 이용돼 왔다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동일한 동물들을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이 ... ...
보이지 않는 위험, 디지털 질환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일부같이 느껴진다.□심심할 때 불필요하게 휴대전화를 사용한다.※ 1~5
점
척도입니다. 총
점
60
점
이상인 경우 위험군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가청진동수의 '스위트 스폿'사람의 귀는 1000~6000Hz(스위트 스폿)의 소리에 가장 민감하다. 전화 벨소리나 아기울음소리, 사이렌 소리 등이 이 대역에 ... ...
이전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