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화산폭발 규모, 우산 모양 화산재 구름으로 추정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지각에
에너지
가 쌓이면 화산활동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과거에 존재했던 화산활동을 추적하면 우리가 밟고 있는 지각의 변화를 유추할 수 있죠. 로버트 콘스탄틴스쿠 미국 사우스플로리다대학교 지구과학과 연구원팀은 화산이 폭발할 때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화산재 구름을 분석해 과거의 ... ...
[과학뉴스] 레이저 기술 혁신 불러올 ‘빛의 눈사태’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만든 나노입자 속 툴륨 이온은 빛
에너지
를 흡수했을 때
에너지
가 1만 배 이상 증폭되는 성질을 보였다. 그 덕에 연구팀은 기존 나노물질에서 1% 이하였던 광변환 효율을 40%까지 높일 수 있었다. 광변환 효율은 나노입자에 들어간 빛의 세기 대비 나온 빛의 세기를 ... ...
[과학뉴스] 수소 생산량 늘리는 따개비 닮은 촉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국내 연구팀이 물에 전력을 공급해 수소를 생산하는 수전해 기술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촉매를 개발했다. 이재영 광주과학기술원(GIST) ...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1월 4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에너지
레터스’에 발표됐다. doi: 10.1021/acsenergylett.0c0235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단순히 창의성을 연구하는 데서 끝나지 않는다. 그는 “‘
에너지
’라는 개념이 생기며
에너지
를 이용하는 기계들이 쏟아져나왔다”며 “창의성 역시 개념을 완벽하게 정립하면 창의성을 이용한 기계가 나올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람의 창의성을 더 키워주는 등 우리가 상상하지 ... ...
[마이랩@홈] 섭섭박사의 홈 파티에 어서 오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가둬놓는 거죠.원래 물은 100℃에서 끓으면 온도가 더는 오르지 않아요. 가해주는 열
에너지
가 물이 기화되는 데 사용되기 때문이죠. 하지만 끓지 못하게 막으면 물은 100℃ 이상의 온도로 올라갈 수 있어요. 평상시 기압보다 2배 높은 압력밥솥 안에선 물이 120~125℃까지도 가열되죠. 온도가 높다는 건 ... ...
[과학뉴스] ‘매운맛’으로 태양전지 효율 높인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
를 전기
에너지
로 바꾸는 장치로, 현재
에너지
변환 효율을 높이는 것이 핵심 과제다. 최근 페로브스카이트 등 신소재 ... 자연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라며 “추가 연구를 통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에너지
변환 효율을 더욱 높이겠다”라고 밝혔다 ... ...
재생
에너지
‘루키’ 수상태양광...물 속 생태계는 괜찮을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최근 결정했다. 이는 합천호 전체 면적의 2%가량을 차지한다.문제는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을 급박하게 확보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최근 거대 규모로 지어지고 있는 수상태양광 시설이다. 현재 새만금 간척지구에는 2.1GW 규모의 수상태양광 설비 건설이 추진 중이다(위 사진). 새만금 ... ...
[과학뉴스] 광학 집게로 원자 집어 시간 알려주는 ‘집게 시계’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원자에 기존 레이저 빛과 수직인 또 다른 레이저를 쐈다. 그러자 스트론튬 원자들이
에너지
를 얻으며 40초 이상 균일한 주파수로 진동했다. 스트론튬 원자들의 진동수는 오차가 190경분의 1초 수준으로 매우 적었다. 진동수가 균일할수록 원자시계의 안정성이 높다. 연구에 참여한 준 예 JILA ... ...
6G 갖춰야 할 성능, 가능케 할 기술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연구 결과를 보면, 6G는 최소 6가지 측면에서 5G의 성능을 크게 뛰어넘어야 한다. 속도와
에너지
효율, 신뢰도(오류 발생률) 등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성능도 있지만 연결 밀도나 공기 지연율, 스펙트럼 효율 등 전문적인 용어로 정의되는 성능도 있다. 연결 밀도는 특정 지역에 존재하는 스마트 장치 ... ...
[DGIST@융복합 파트너]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커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교수는 “앞으로
에너지
의 수요는 더욱 커질 것”이라며 “
에너지
하베스팅은 단순히 우리 생활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아니라 미래 사회에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